"작년 말 국제결제은행(BIS) 산하기관인 바젤은행가독위원회(BCBS)은 은행이 전체 자산의 2% 미만까지 가상자산을 보유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은 규제안을 발표했다. 그럼에도 한국은 지난 2017년 말부터 여전히 금융사의 가상자산 보유와 투자를 일괄 금지하고 있다."
김형중 한국핀테크학회장은 4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 웹3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 동안 기업공개(IPO) 방식으로 자금 조달이 이뤄지고 이를 통해 산업이 성장했던 것과 달리, 향후 가상자산공개(ICO), 토큰증권 발행(STO)이 IPO의 역할을 대체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런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금융기관들도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해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가상자산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구현한 탈중앙화거래소(DEX) '유니스왑'이 중앙화거래소(CEX)에 준하는 거래액을 기록하고 있는 점, 각국이 디지털화폐(CBDC)를 연구하면서 통화 주도권 경쟁을 대비하는 점 등을 전망의 근거로 제시했다.
김형중 학회장은 "새로 부상하는 화폐 기술을 우리나라 금융기관이 배우고 익히지 않으면 금융 산업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며 "한국은 점차 잠재 성장력이 약해지고 있는데, 선진국으로 성장하면서 줄어든 성장 동력을 금융 산업에서 채우는 방안을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실제 가상자산 시장도 고속 성장 중이다. 해외에선 가상자산 기업 전문 벤처투자사(VC)가 다수 등장하고, 이런 VC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유니콘'으로 성장한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 '부동산' 토큰 기반 디파이 서비스 나온다2023.05.04
- 유럽 중앙은행, '블록체인' 도매 금융 시스템 검토2023.05.01
- 아쉬움 많지만, 가상자산 제도화 성과…A- 학점2023.04.28
- 레온 풍 바이낸스 "글로벌 유동성, 코인 시세 조종 방지책"202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