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온 풍 바이낸스 "글로벌 유동성, 코인 시세 조종 방지책"

기관투자 제도화 중요성 강조

컴퓨팅입력 :2023/04/28 11:32    수정: 2023/04/28 14:01

"코인에 대한 시세 조종은 매우 큰 리스크다. 글로벌 유동성이 중요한 이유다. 시가총액이 작은 코인은 가격 덤핑, 시세 조종의 타겟이 되기 쉬운데 이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올초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 지분을 매입, 최대 주주가 됐다. 고팍스 대표를 맡고 있는 레온 풍 바이낸스 아태 지역 대표는 28일 열린 '디지털 혁신 학술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관여하는 '김치코인' 프로젝트 중 일부가 브로커를 통해 거래소에 상장됐던 것으로 드러나는 등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도가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글로벌 시장을 비롯한 풍부한 유동성 공급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레온 풍 바이낸스 아태 지역 대표

이런 유동성 공급은 보다 자금력이 좋은 기관들의 가상자산 투자 제도화로 가능하다고 봤다. 레온 풍 대표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은 원화 기반의, 실명계좌를 등록한 개인 사용자가 거래할 수 있게 돼 있어 마켓메이킹(MM) 전문 팀들은 해외에선 등록된 사업자라 해도 시장에 진입할 수 없다"며 "때문에 MM 전문 팀이 아닌, 보다 작은 규모의 유동성 공급 세력들이 보다 작은 거래 규모의 토큰에 대해  교차거래를 하거나 시세 조종을 하려는 사건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유동성을 국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오더북 공유와 더불어 기관들의 가상자산 거래 계좌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가상자산 거래소의 상장 및 상장 폐지 정책에 대해서는 코인 규모와 관계 없이 표준화된 정책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정책에 입각해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코인 프로젝트의 목적을 중요한 판단 근거로 둬야 한다고도 봤다. 거래소가 상장한 코인이 증권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제3자의 보증 및 이를 위한 전문 인력은 필수 사항으로 제시했다.

레온 풍 대표는 "거래소 차원에선 코인 시세 조종 세력으로 의심되는 이용자의 지갑 주소를 확인하고 거래 패턴을 살펴 시세 덤핑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투자자들은 직접 투자하려는 토큰을 조사하고 공개된 데이터를 살펴 보다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