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동차 친환경성 평가기술 개발 나서

자동차 생애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 포함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 착수

카테크입력 :2023/05/04 11:10

국토교통부는 수송부문 탄소중립 이행과 친환경자동차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자동차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 사업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책임연구기관을 맡아 2026년 말까지 총 250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올해에는 사업예산 25억원을 배정했다.

‘Green NCAP’은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실내 공기질 등의 자동차 친환경성을 평가해 결과를 공개하는 제도다.

화성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에서 체험강사가 브레이크잠김방지시스템(ABS) 기능 없이 급브레이크를 밟는 시연을 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연구개발이 현재 시행 중인 자동차 충돌·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자동차안전도평가(Safety NCAP)’와 함께 자동차의 친환경성과 안전성을 같이 평가하는 ‘자동차 종합평가제도’로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은 ▲자동차 생애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A-LCA) ▲연료소비율과 1회 충전 후 주행거리(전기자동차) 등 자동차 성능 평가 ▲자동차 실내공기질 평가 방법 및 등급화 개발로 구성된다.

자동차 생애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방법은 UN 산하 국제기구인 WP.29에서 논의되고 있는 국제기준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기반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 밖에도 친환경자동차 성능 평가 장비, 자동차 실내 내장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해물질은 물론 미세먼지 등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물질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 등의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은정 국토부 자동차정책과장은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로 인해 자동차 생애 전주기 관점에서 온실가스를 관리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내 자동차 관련 산업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가지고 국제기준 제정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