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촉발된 미국 중소형 지역은행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적인 불안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금리 정책 기조가 변하지 않는 한 시장 동요는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30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최근 미국 금융 불안과 전망' 보고서를 내고 SVB 파산과 퍼스트리퍼블릭뱅크(FRC)의 대량 예금 유출(뱅크런)이 발생한 것은 비즈니스 모델과 부채 및 자산 구조 등이 금리 인상 시기에 지속가능성이 낮다고 시장이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SVB와 FRC는 모두 금리 민감도가 높은 상품 비중이 높았다. 즉, 금리가 오를 경우 수익성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불안 사태를 촉발시켰다는 것이다.
실제 SVB와 FRC의 총 부채에서 예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말 각각 90.4%, 90.6%로 집계됐다. 핵심 고객층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에게 다시 높은 수준의 예금 금리를 제공해야하지만 그럴 경우 수익성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예고됐다는 것이다.
FRC의 경우 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한 고정금리형 장기주택모기지 대출이 전체 자산의 약 50%를 차지했다. 저금리 장기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형성한 자산포트폴리오인데, 추후 조달비용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미국 연준의 긴축적 금리 정책 기조가 변하지 않는 한 이들 지역은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장 우려는 여전하다는 것이다. 한국금융연구원 임형석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인플레이션 추이, 금리 정책 결정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점마다 주기적인 시장 동요는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美 퍼스트리퍼블릭은행, 매각 초읽기2023.04.30
- 보험업계, IFRS17 첫 적용한 성적표 공개2023.04.28
- 美 1분기 성장률 1.1%…시장 예상치 ‘반토막’2023.04.28
- 지스타 참가 게임사, 성장성 드러내...내년 출시작 '풍성'2024.11.17
SVB와 FRC 선례를 막기 위해서는 국내은행도 고객측 다변화를 통한 핵심 예금 확보가 필요하다고 임 선임연구위원은 진단했다.
그는 "국내은행의 경우 핵심 예금의 약 39.4% 가 미래 수익증가에 기여하고 있으며, 핵심예금 프리미엄과 주가 간 상관관계는 53.2%수준으로 나타났다"며 "핵심 예금 확보 여부가 은행의 기업 가치 결정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