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 기업 다이슨이 전 세계 사람들의 청소 습관과 행동을 분석한 글로벌 먼지 연구 연례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총 39개국 약 3만3천997명을 대상으로 지난 1월 11일부터 2월 6일까지 진행됐다. 다이슨은 가정 내 먼지가 일으킬 수 있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다이슨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포스트 팬데믹 시대가 도래하며 전 세계적으로 청소 빈도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60%가 '먼지나 이물질이 눈에 보일 때에만 청소를 한다'라고 답했다. 작년 동일 문항 응답 대비 약 20%p 증가한 수치다. 또한 '나는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청소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작년 대비 15%p 하락한 수치인 41%가 그렇다고 답했다.
모니카 스투첸 다이슨 미생물학자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연구 결과 먼지가 눈에 보여야 청소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작년 대비 크게 늘어났다"라며 "먼지 입자들은 크기가 작고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며,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청소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인 75%는 '가정 내 바이러스가 걱정된다'라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 59%는 전반적으로 청소를 통해 제거하려고 하는 집안 먼지 속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81%는 청소를 하지 않으면 먼지 속 바이러스가 이틀 이상 표면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한국의 경우 응답자 절반 이상이 바이러스가 먼지 속에서 하루 또는 이틀 이상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다이슨은 한국이 타 국가 대비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했다.
모니카는 "미세한 입자 에어로졸 형태의 바이러스가 담배 연기와 같은 기류를 타고 실내 환경 곳곳을 떠다니다 집안 표면에 가라앉을 수 있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라며 "가정 내 먼지 속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집안에서 먼지가 어떻게 퍼지는지 이해함으로써 더 사람들이 더욱 시간과 관심을 기울여 청소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다이슨에 따르면 진공청소기 필수 기능은 청소기 내부에 먼지를 봉인해 가두고 바깥으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미흡한 필터레이션과 완벽하지 않은 밀봉 시스템을 가진 진공청소기들은 흡입한 물질 일부를 다시 주변 환경으로 배출할 우려가 있다. 때문에 필터 설계, 공기 흐름 경로, 그리고 밀봉 시스템이 함께 원활히 작동하면서 먼지를 흡입하고 다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4명 중 3명은 공기 필터의 일종인 '헤파(HEPA)'를 '모른다'고 응답했다. 다만 한국의 경우 헤파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수치가 36%를 기록했다.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 국가 중에서도 인지도가 가장 높은 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찰리 파크 다이슨 무선 청소기 사업부 총괄 부사장은 "최고의 필터라면, 제품 밖으로 오염된 공기가 새어 나갈 가능성 없이 깨끗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다이슨 'Gen5 디텍트'는 헤파 필터레이션 기술로 바이러스를 포함한 0.1마이크론만큼 작은 입자까지 가둬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다이슨 "국내 초미세먼지, 국제 안전권고기준보다 1.3배 높아"2023.04.24
- 다이슨, 일상 속 문제 해결할 아이디어 찾는다2023.03.06
- LG전자, 4개 사업본부 대수술...고객 지향 솔루션 체제로2024.11.21
- "피부 컨설팅 받고 VIP라운지 즐겨요"…체험 가득 '올리브영N 성수' 가보니2024.11.21
모니카는 "이번 다이슨 글로벌 먼지 연구 결과가 사람들로 하여금 가정 내 먼지에 무엇이 존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다이슨 미생물학 연구팀은 약 20년간 전 세계 가정 환경에 존재하는 먼지 연구를 진행해왔다. 사람의 머리카락 정도의 지름인 70 마이크론 입자부터 바이러스 크기인 0.1 마이크론 입자까지 분석하고 있다. 또한 다이슨의 미생물학 연구소 내 진드기 배양 시설에서 진드기의 배설물을 수집해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에 대해서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