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배터리·바이오·에너지 등 23개 첨단분야 협력

디지털경제입력 :2023/04/26 14:15

산업통상자원부가 한미 양국의 기업·기관간 배터리, 바이오, 에너지 분야 등 총 23건의 업무협약(MOU)이 체결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산업부에 따르면 워싱턴DC 월도프 애스토리아 호텔에서 양국 기업‧기관 대표 45명이 참석하는 '한미 첨단산업‧청정에너지 파트너십' 행사가 개최됐다.

행사에서는 총 23건의 MOU가 체결됐다. 분야별로는 배터리‧바이오‧자율주행차‧항공‧로봇 등 첨단산업 분야 10건과 수소‧원전‧탄소중립 등 청정에너지 분야 13건 협력이 포함됐다.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배터리‧바이오‧자율주행차‧항공‧로봇 등 분야 기업‧연구소‧공공기관들이 공동연구, 인력교류, 제품 개발, 인증‧표준 등 다양한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첨단산업의 대표적인 분야인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양국 협회‧기관‧연구소 간 협력 MOU가 체결됐다. 시장진출 및 기업 유치를 위한 상호 지원 네트워크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바이오분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업교류 지원 ▲국내 산학연-미국 대학 간 국제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진단시약 등 체외진단 및 의료기기 분야 양국 시험인증기관 간 상호협력 등 MOU 3건이 체결됐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5일 개최된 '한미 첨단산업·청정에너지 파트너십 MOU 체결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자율주행차 분야는 ▲국내 연구소-미국 협회 간 공동연구, 표준개발 협력 ▲인증관련 협력을 위한 양국 기관 간 협력 등 MOU 2건이 체결됐다.

항공분야에서는 보잉사의 프로젝트에 국내 업체 참여를 위해 협력하기 위한 MOU가 체결돼 국내 업체의 글로벌 우주항공 분야 진출 확대 기회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분야 제품‧기술 공동개발 및 글로벌 판매 협력을 위한 기업간 MOU도 체결돼 향후 국내 기업의 북미수출 확대도 기대된다.

이 밖에 사이버 보안과 첨단산업 분야에서도 기술개발 협력 MOU 2건이 체결됐다.

청정에너지 분야에서는 석유, 가스 등 전통 에너지 분야에서 소형모듈원전(SMR), 수소, 암모니아, CCUS, 신재생, 핵심광물 분야 등으로 협력이 확대되면서 총 13건의 MOU가 체결됐다. 

무탄소 발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는 SMR 분야에서는 미국의 설계 역량과 한국의 제작, 운영·관리, 금융 역량 등을 활용한 제3국 시장진출을 위한 기업 간 협력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이 대두된 원전연료 분야에서도 한수원-센트러스간 수급 협력 MOU가 체결됐다.

관련기사

청정발전 및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양국 기업 간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수소/암모니아 혼소기술, CCUS 등 첨단분야의 공동연구와 기술협력에 집중할 예정이며 향후 상용화‧사업화까지 협력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미국 청정수소 생산의 경쟁력이 확보됨에 따라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양국 기업들간 협력 MOU도 체결됐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미 양국이 그간 군사‧안보동맹에서 나아가 첨단산업‧기술동맹으로 외연을 넓혀가고 있다”며 “이번에 심은 협력의 씨앗들이 조만간 큰 결실을 맺기를 기대하며, 한국 정부 역시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