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1분기 영업익 3조5927억 '사상 최대'

지난 해보다 86% 이상 늘어…2분기 연속 분기 신기록

카테크입력 :2023/04/25 15:30    수정: 2023/04/25 18:15

현대자동차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1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자신감 있는 행보를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주주환원 확대 등 국내 수출 1위 산업으로 올라선 자동차 산업 대표주자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보였다.

25일 현대차는 서울 본사에서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열어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7조7천787억원(자동차 30조6천464억원, 금융 및 기타 7조1천323억원), 영업이익 3조5천92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7%, 영업이익은 86.3% 증가했다. 

특히 현대차는 1분기 영업이익 3조5천억원을 넘어서면서 3조원을 돌파하기 힘들 것이란 업계 전망을 보기 좋게 무너뜨렸다. 

현대차, 아이오닉 6 (사진=현대자동차)

도매 기준 글로벌 판매량은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13.2% 늘어난 102만1천712대를 기록했다.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및 기타 부품의 수급 상황이 개선되면서 이런 양호한 성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판매대수가 증가한 데다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우호적 환율 효과 등이 겹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5.9% 상승한 1천276원이다.

경상이익은 4조 5천909억원, 당기순이익은 3조4천194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다.

현대차는 가동률 개선을 통해 차량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2분기는 계절적 성수기에 해당해 향후 실적 역시 양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지정학적 영향 및 인플레이션 확대, 금리 인상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 등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에 따라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환율 변동성 확대와 업체 간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상승이 경영활동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 관계자는 “반도체 공급 부족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생산이 확대되고 있으나, 주요 시장의 재고 수준은 여전히 낮아 향후 견조한 대기수요를 바탕으로 판매 증가가 예상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인상 등 경영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는 두 번째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6의 글로벌 판매 본격화, 고성능 모델 아이오닉5 N과 신차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 출시를 통한 전기차 판매 확대, 5세대 완전변경 싼타페 글로벌 출시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으로 믹스를 개선해 점유율 확대와 수익성 방어에 집중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새로운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도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대차 주식을 장기 보유할 수 있게 매력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책은 신규 배당 정책 수립 및 분기 배당 실시 발표, 단계적인 자사주 소각 계획이 주요 골자다.

새로운 배당 정책은 배당 기준을 기존 잉여현금흐름(FCF)에서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으로 변경했다. 배당 성향은 연간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 25% 이상으로 설정됐다.

배당 주기는 기존 연 2회(반기)에서 연 4차례(분기)로 확대한다고 현대차는 말했다.아울러 현대차는 향후 3년에 걸쳐 보유 중인 자사주를 매년 1%씩 소각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향후에도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주주 친화 정책을 적극 수립하고, 시장의 기대치에 부응하는 기업가치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향후 여러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동률 개선에 따른 생산 정상화를 바탕으로 판매 물량 확대 및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믹스 개선을 추진해 매출액 성장률 및 영업이익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1분기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총 221억 달러로, 2014년 이후 9년 만에 전체 수출 품목 중 1위로 올라섰다. 반도체를 앞지른 것은 자동차가 2등, 반도체가 3등이던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