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초거대AI 응용서비스의 전문(도메인) 분야 세계 1위 달성, 하나의 플랫폼에서 정부 서비스 제공 등을 담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 계획을 발표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에서는 증명서 발급·세금신고·복지 신청 등 1천500여 종 정부 서비스를 한 사이트에서 제공한다. 정부 기관 간 데이터를 공유·활용해 관공서 첨부 서류를 없앤다.
정부는 인공지능(AI)·데이터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한다. 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인프라 경쟁력을 높여 초거대AI 응용서비스의 전문(도메인) 분야 세계 1위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2025년 사이버 보안 모델 '제로 트러스트'와 공급망 보안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대화형 AI '챗GPT'를 만든 오픈AI와 소통 창구를 개설했다. 한국인의 데이터를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오후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진행했다.
다음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 AI를 활용해 2026년까지 공공 서비스 1천500여 종을 한 플랫폼에서 통합해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 서비스 중 몇 % 정도인가
"현재 정부24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3천500개다. 그 중 다른 사이트 링크로 들어가 다시 로그인해야 하는 것이 1천500개다. 이러한 아웃링크 서비스를 한 군데에서 모아 제공할 계획이다."
- 범정부 통합 서비스 창구 구축 과정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인력·예산 배정 권한이 없는데 어떻게 사업을 진행하나
"공공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다. 하지만 시스템들을 연계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수정할 때 예산이 필요하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의 주관 부처는 행정안전부와 과기정통부다. 정부24 사이트 관련 예산은 행안부가, 이 외 다른 일은 과기정통부가 예산을 편성해줄 수 있다. 범 부처 협의 사항은 참여하는 각 부서의 예산 집행으로 진행할 수 있다."
- 정부가 전용 초거대 AI를 개발하는 것인가 도입하는 것인가. 이로 인해 현장은 어떻게 바뀌나
"민간 초거대 AI를 정부가 전용으로 활용하겠다. 이 AI는 두 가지로 나뉜다. 정부가 기존에 공개한 데이터로 트레이닝한 초거대AI와 비공개 데이터로 트레이닝해 역량을 더 확장한 초거대AI다."
- 정부 전용 초거대AI 도입 관련 투입 인원, 예산 등 구제척인 계획이 있나
"초거대 생성 AI 한계를 돌파하는 기술 개발 계획을 수립 중이다. 앞으로 진행 과정에서 예산을 확정할 계획이다."
- 세계 1위를 목표로 하는 초거대AI 응용 서비스 분야(도메인)는 무엇인가
"전문가 의견과 자료 조사를 통해 5개 분야를 정했다. 법률, 의료, 심리상담, 문화예술, 학술연구 등이다. 초거대AI는 각각의 전문 영역에서 보조 역할을 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강한 분야들이 있다. 일례로 한국은 의료 데이터 축적·디지털화가 잘 되어 있다. 개인정보 보호를 잘 하면서 다른 나라에 비해 차별화하는 모델을 발굴하겠다."
- 중소기업은 초거대AI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하드웨어 컴퓨팅 비용 부담과 관련 규제 때문에 힘들어한다.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나
"하드웨어 컴퓨팅 비용 관련해 과기정통부가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
규제 개선은 인공지능 학습 DB를 어떻게 구축할 것이냐가 핵심이다. 이미 데이터를 많이 축적한 큰 회사와 중소기업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 문제이기도 하다. 기업의 영업 비밀이자 그 자체로 경쟁력 원천인 특수한 데이터를 어떻게 구분하고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할지 고민하고 있다.
또, 실제 데이터 베이스 구축 작업의 3분의 2는 데이터 클렌징이다. 어떤 표준을 거쳐 어떻게 쓸지 데이터를 추출해 변환하는 작업이 크다. 관련해 필요한 규격화 논의를 하겠다."
- 100만명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활용 교육 계획을 밝혔다. 교육 대상 선정 기준이 있나
"이미 우리 국민 중 220만명이 챗GPT를 사용한다. AI 전문가 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도 관련해 유용성을 느끼면 좋겠다."
- 제로 트로스트, 공급망 보안 계획이 2025년에 적용된다. 연초부터 보안 사고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보안 계획이 너무 늦게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선진국에서도 새로운 보안 체계 확립하고 있다. 이 얘기를 처음 끄집어낸 미국도 아직 제로 트로스트나 공급망 보안에 대한 체계를 수립하지 못했다. 세계 각국이 관련해 연구개발하는 단계다."
- 정부는 이번 계획에서 마이데이터를 강조했다. 산업계에서는 마이데이터가 금융, 공공 분야에서만 우선 적용되는 등 시장성이 없다는 비관론이 나온다
"마이데이터는 빠른 시일 내에 시장성이 있다고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데이터를 접하는 사고 체계, 디지털 전환을 해낼 것이냐는 큰 질문을 전제하고 있다. 동시다발적으로 모든 영역의 데이터를 개방해 전환하는 것은 알맞지 않다. 단계적으로 시범 사업을 거쳐야 한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오픈AI와 소통 채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무엇을 논의할 것인가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외국 기업 중엔 연락 자체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지금까지는 기본적인 연락 창구를 마련하고 사실을 확인하는 단계다.
한국의 데이터가 챗GPT 모델에 활용된 바 있는지, 어떤 식으로 활용되고 학습 데이터에 포함됐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우선 소통 창구가 마련됐기 때문에 궁금한 것을 내부적으로 논의해 정리하는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의 데이터가 적절히 보호되고 있는지 파악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1500개 행정 서비스, 홈페이지 한 곳으로 모은다2023.04.14
- "거대AI 응용, 세계 1위 도전…올해 3901억원 투입"2023.04.14
- 개인정보위, 오픈AI 소통창구 개설…"국민 데이터 적합하게 수집했는지 파악"2023.04.14
- 尹 "디지털플랫폼정부, 전자정부 업그레이드 아닌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2023.04.14
-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하면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만나나
"샘 알트만 CEO가 한국에 온다고 밝히고, 공식적으로 면담을 요청하면 만날 의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