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말 기준 국내 벤처·스타트업 3만3000곳이 고용한 인원은 74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8.1%(5.6만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전체기업의 고용규모가 2.4%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3일 중기부에 따르면 이들 벤처·스타트업 중 2022년에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2천개사의 전년 대비 고용증가율은 전체기업 대비 약 12배 수준인 29.8%(1.9만명)로 나타나 벤처투자가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한 것이 확인됐다.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비상장기업) 15개사의 2022년도 고용은 약 9천명으로 전년 대비 22.9%(1.8천명, 기업당 약 1백명) 늘었다.
한편 피고용인의 연령대 및 성별을 고려하면, 벤처·스타트업은 청년 또는 여성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고용했다. 청년은 만 15세 이상~만 29세 이하를 말한다. 2022년 벤처·스타트업의 청년 고용은 19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3.6%(6.8천명) 늘었다. 청년 인구감소, 사회진출 연령대 상승, 신규채용 축소 등에 따라 전체 기업의 청년 고용이 1.2% 줄어든 것과 달리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벤처·스타트업의 여성 고용은 24만3000명으로 10.0%(2.2만명) 증가하면서 전체기업의 여성 고용증가율(2.9%)을 큰 폭으로 상회했다.
또 2022년 벤처·스타트업의 고용 현황을 업종별로 보면, 최근 빠르게 성장 중인 콘텐츠 및 디지털 관련 업종의 고용증가율이 높았다. 영상·공연·음반 업종은 드라마, 음악 등 K-콘텐츠의 세계적 유행으로 최근 주목받는 분야로, 전체 중 가장 높은 15.4%(1,764명)의 고용증가율을 보였다.
다음은 디지털 기술 발달로 고용 수요가 증가한 게임(14.9%, +1,820명), ICT 서비스(12.3%, +1만 9,177명), 유통·서비스(10.0%, +8,924명) 순이었다. 반면, 제조업 분야의 고용증가율은 약 5% 수준(전기·기계·장비:5.8%, 화학·소재:5.0%, ICT 제조:4.3%)으로, 전체 벤처·스타트업(8.1%) 대비 낮았다.
벤처․스타트업 중에서도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의 고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했고, 투자금액이 높을수록 고용증가 규모도 더 컸다. 벤처기업 중에서도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들의 고용증가율은 전년 대비 16.5%로 다른 유형의 벤처기업 대비 2.5~4배 이상 높았으며, 벤처투자를 많이 유치한 업종과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고용이 이뤄졌다.
관련기사
- 서울 3조7445억, 전남은 33억···작년 벤처투자 지역간 큰 격차2023.01.29
- 삼성벤처투자 2023년 정기 임원 인사 명단2022.12.06
- 뉴빌리티, 삼성벤처투자 30억 투자 유치2023.03.21
- 비트코인 9만9천 달러 돌파...SEC 위원장 사임 소식에 급등2024.11.22
이영 중기부 장관은 "고금리·고물가 등에 따른 경기둔화 국면에서도 벤처·스타트업의 고용 규모는 전체기업 대비 높은 실적을 기록했고, 청년과 여성의 사회진출에도 일정부분 기여했다”고 평가하면서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등으로 벤처투자시장의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이지만, 우리 벤처·스타트업이 성장 자금을 차질없이 공급받아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들 통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2년 벤처·스타트업의 고용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분석한 통계로, 통계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