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지난해 1월 0.00~0.25% 수준이였던 연방기금 금리(기준금리)가 현 수준(4.50~4.75%)에서 얼마나 더 오를지, 연준의 행보가 국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된다.
10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최근 상하원 은행위원회 증언에서 “정부의 고용·인플레이션 지표가 오는 21일부터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의 금리 결정에 강하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각종 지표들이 전반적으로 더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가리킨다면, 그에 맞춰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앞서 상원 은행위원회 증언에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강하고 최종 금리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며 추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준은 당분간 인플레이션 상승률을 꺾기 위해 강력한 통화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진다. 시장에서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무게를 두고 있으나 어느 수준이 정점일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최고투자책임자는 지난 8일 개인 소셜미디어를 통해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2% 가까이 낮추기 위해 연방기금 금리를 6%로 끌어올린 다음 장기간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연준은 2000년 이후 금리를 6% 이상 끌어올린 적이 없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최근 CNN과의 인터뷰에서 “물가가 다시 치솟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기에 금리 인상 기조를 완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준은 현재 (통화정책) 경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B증권 임재균 연구원은 “경제지표가 견고한 만큼 빠르게 5% 이상으로 금리를 인상하겠지만, 기준금리가 5.5% 수준만 돼도 실질 기준금리(PCE 기준)가 플러스로 전환된다”며 “실질 기준금리가 플러스로 전환된 이후에는 동결을 오랜 기간 유지하면서 긴축적인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가에선 한국은행이 연준의 통화정책 행보에 발을 맞출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증권 김지만 연구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정점에 대한 기대가 한국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정당화할 만큼 높아졌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영증권 조용구 연구원은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때만 해도 시장이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가능성을 높게 봤다”며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는 미국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나서면 한국도 금리를 올리지 않고는 버티기 어려울 것이란 예측이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2월 비농업 고용지수 등 각종 경제 지표가 아직 발표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기준금리 상단을 섣불리 예측하는 건 이르다는 분석도 있다. 현재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의 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22만5천명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1월 기록한 51만7천명보다 절반 이상 적은 수준이다.
관련기사
- 이창용 한은 총재 "2% 물가상승률 목표, 단기엔 수정 없다"2023.03.07
- 지난해 경상수지 298억 달러 흑자…전년比 65% 감소2023.02.08
- 한국은행 "1분기 대출수요, 중소기업↑·가계↓"2023.01.18
- 기준금리 3.50% 시대...14년 만에 가장 높아2023.01.13
미래에셋증권 김석환 연구원은 “파월 의장의 발언은 지난 2월 발표된 경제지표들이 예상을 상회했던 만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었던 범위의 발언”이라며 “결국 핵심서비스 부문의 디스인플레이션을 확인해야 하는데 이는 노동 시장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도 “지난달에는 큰 폭의 고용증가가 확인되면서 시장금리가 급등한 바 있다”며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지표가 확인된다면, 시장에 반영된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도 한결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