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중견기업 전문 투자펀드 조성…2027년까지 1조 규모 조성

제1차 중견기업 혁신펀드 조성 협약…중견기업 신사업 진출 지원

디지털경제입력 :2023/03/09 11:00

산업부가 중견기업 신사업 진출 등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중견기업 전문 투자펀드 조성에 나선다. 올해 안에 2천150억원, 2027년까지 총 1조원 규모 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오후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 호텔에서 장영진 제 1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중견기업연합회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성장금융 등과 ‘제1차 중견기업 혁신펀드 조성 협약’을 체결한다.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중견기업에 중점 투자하는 민관 협력 펀드가 출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견기업 투자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중견기업계도 차세대 젊은 경영인(영 CEO)이 중심이 돼 펀드 조성에 함께 참여한다.

제1차 중견기업혁신펀드는 중견기업 출자금 100억원과 정책자금(산업기술혁신펀드) 400억원을 기반으로 올해 11월까지 총 1천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참여 중견기업은 와이지-원·에스디바이오센서·SIMPAC·한국카본 등이며 각각 25억원씩 출자한다.

정부는 제1차 중견기업 혁신펀드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총 1조원 규모 중견기업 특화 펀드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중견기업 혁신펀드는 기술경쟁력 강화, 신사업 진출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중견기업의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집중 지원한다. 1조원 규모 중견기업 특화 펀드는 정책펀드와 민간펀드로 구성된다.

대출 등 간접금융 중심으로 외부자금을 조달함에 따라 최근 금리상승 등으로 신규 투자자금 확보에 애로를 겪는 중견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2027년까지 8천억원 규모 정책펀드를 조성한다.

9일 출범하는 ‘중견기업 혁신펀드’는 11월부터 1차 펀드 투자가 시작되고, 올해 안에 1천억원 내외 2차 펀드 조성에도 착수하는 등 2025년까지 3천억원 규모로 확대·조성할 계획이다.

또 성장잠재력 높은 후보 중견기업의 스케일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기부 소관 모태펀드 출자를 통한 5천억원 규모 ‘스케일업·중견 도약펀드’ 조성도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추진한다.

중견기업 출자금 등 100% 민간재원을 활용해 2024년까지 2천억원 규모 민간주도 펀드도 조성할 예정이다.

중견기업 공동 출자로 ‘중견 연합형 벤처모펀드’를 조성해 독자적으로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설립이 어려운 중견기업의 혁신 벤처와의 협업기회도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우리 경제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산업생태계의 중역이자 허리층인 중견기업이 신사업·신기술 등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이번에 조성되는 펀드가 중견기업의 신사업 진출의 마중물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1차 중견기업 혁신펀드는 9일부터 4월 6일까지 위탁운용사 선정공고를 내고 접수된 제안서를 바탕으로 심사를 거쳐 4~5월 중 운용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