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로봇 도입이 늘어나면서 다치는 근로자가 줄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김혜진 부연구위원은 '로봇 도입이 산업 재해와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내고 2010~2019년 동안 로봇 도입이 많이 늘어난 지역에선 산업 재해 발생 건 수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근로자 1천명 당 도입된 로봇이 9.95대 늘어나면 근로자 100명당 재해근로자 수가 8% 줄어들었다. 특히 업무상 부상으로 인해 근로자의 신체 등에 장해가 남는 경우 장해 급여를 지급해야 하는데 로봇 도입 시 장해 급여 건수가 근로자 100명당 16.9% 줄었다.
또 로봇 도입이 많이 증가한 지역에서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의 근로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보였다.
김혜진 부연구위원은 "이는 로봇이 노동집약적이고 위험한 업무를 대체함에 따라 근로자 중 육체직무 종사자 비중이 감소한 것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로봇 도입이 9.95대 늘어나면 지역의 육체직무 종사자 비중이 0.36%p가 줄었다.
로봇으로 인해 산업 재해가 줄고 근로자의 건강 개선이 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 만큼, 편익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는게 김 부연구위원은 주장했다.
관련기사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인뱅·핀테크사 내부통제 주문2023.02.27
- 1월 거주자외화예금 1천92억 달러…전월比 1.55%↓2023.02.27
- 생보업계, 신한라이프 경영효율성 개선 방향 주목2023.02.27
- 영국, 채소·과일 부족…"에너지 비용 증가 탓"2023.02.26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산업용 로봇 대 수를 나타내는 로봇 밀집도는 932대로, 전 세계 평균은 126대로 높은 수준이다.
현재 로봇은 무거운 물체를 운반하거나 반복적인 업무를 대체해 근골격계 위험을 낮추고 용접 공정, 위험 물질 처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