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말까지 수소車 4만7천대 보급

모빌리티용 수소수급협의체 발족...작년 말 기준 2만 9733대

디지털경제입력 :2023/02/23 15:04    수정: 2023/02/23 15:09

정부가 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협의체를 공식 발족하고 연료전지시스템 구매지원 시범사업 등을 통해 모빌리티 수소 수급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석탄회관에서 '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협의체'를 발족하고 이같이 밝혔다.

협의체는 수소 수급을 총괄하는 산업부와 수소유통전담기관(한국가스공사)을 주축으로 수요분야에는 관계부처(환경부, 국토부), 수소충전소 사업자, 수소차 제조사로 구성됐다. 공급분야는 기체·액화 수소 생산자와 수소 유통사로 구성됐고 그 외 가스안전공사와 석유관리원은 수급 관련 이슈에 자문·지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분기별 1회 개최를 정례화하고, 수소 수급 관련 이슈 발생 시, 수시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올해 모빌리티용 수소 수요 및 공급 전반을 전망하고 안정적인 수소 수급을 위한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수소차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2만9천733대 보급 됐다. 환경부는 연말까지 넥쏘 1만6천대, 버스 700대, 화물차 100대, 청소차 120대 등 1만 6천920대를 추가 보급해 총 4만 7천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사진=지디넷코리아)

수소차 제조사인 현대차는 고상버스 본격 생산 등 23년 수소상용차 제조 대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충전기는 22년 말 기준으로 229기 구축됐다.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91기를 추가 구축해 총 320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올해 화물차용 수소충전소, 수소교통복합기지,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등 교통물류 거점별 수소충전소 확충할 계획이다. 민간 수소충전소 사업자인 하이넷은 올해 최대 17개소를 추가 개소해 총 54개소를 운영 예정이다. SK E&S는 액화플랜트 준공에 맞춰 연말까지 11개소를 구축한다.

관련기사

모빌리티용 기체수소 생산자인 가스기술공사는 하루 7톤 규모의 평택 생산기지를 4월 재가동하고, 가스공사는 11월 창원(10톤/일), 광주(4톤/일) 생산기지를 구축해 대규모 수요 확대에 대응할 예정이다.

한편 2023년 수소차 보급 확산으로 수요량은 약 1만톤, 공급 능력은 생산기지와 액화플랜트 구축 등으로 최대 약 1만5천톤이 예상됨에 따라 전반적 수소 수급 상황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될 것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