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2월엔 숨고르기…기준금리 인상 암시

"물가안정 위한 통화긴축 방향 여전히 유효"

금융입력 :2023/02/23 12:58    수정: 2023/02/23 13:20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이번달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가운데 향후 추가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상승률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위험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23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본회의 후 기자회견 자리에서 “국내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지겠지만 물가가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대외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를 인상한 것에 대한 부담은?

이창용 총재는 “최근 캐나다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지만 글로벌 주요국가들이 고강도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준금리를 동결한다는 것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이 있었던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국내 물가상승률이 미국과 영국, 유럽 등의 상황보단 훨씬 괜찮다”이라며 “물가상승률이 코로나 이전보다 올라간 수준과 금리인상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선진국과 비교해 나은 상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총재는 “최근 식품과 곡물가 물가상승률은 5%를 나타내고 있는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예측이 어렵다”며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이 또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준금리를 3.75% 이상으로 올릴 가능성은?

이번 금통위에선 한명의 위원만 기준금리 인상 의견을 제시했고 나머지 위원은 동결을 제시했다. 

이창용 총재는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번 금통위는 금리를 동결했다”며 “그러나 고강도 통화정책을 유지하며 인플레이션 목표치(2%)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이번달은 5% 내외를 보이다가 3월부터는 유가 상승분을 반영해 4%대로 낮아지고, 올해 말에는 3%대로 낮아지는 경로를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중국, 미국, 우크라이나 등 매우 많은 불확실성이 예상되는데, 물가가 빨리 내려오지 않으면 금리를 인상할 것이고 물가가 잡히면 동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원화 유동성 공급 현황은?

이창용 총재는 “정부와의 정책 공조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며 “정부와 한국은행의 선제적 대응으로 부동산PF를 제외한 단기금융시장이 많이 안정된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모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건전성이 문제되는 건 아니고 각 주체의 신용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다”며 "한국은행이 무작정 시장에 돈을 푸는 것보단 시장 각 이슈별로 정책적인 조치를 진행하는 게 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정책 뿐만 아니라 해외 금리정책과 큰 괴리감이 들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부분적인 유동성 해결을 위해 적격담보를 원칙으로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에 따른 환율시장 악영향 가능성은?

(사진=한국은행)

지난해 말 원·달러 환율이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올해들어 다시 1천30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시장에선 기준금리 동결이 미국과의 금리 격차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 유출을 야기하고, 환율 시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시장심리가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특정 환율 수준을 타겟하기 보단 지나친 쏠림현상 등을 모니터링하며 수급 안정을 위해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환율시장 안정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금리격차 적정선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 금리차이가 너무 벌어지면 변동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겠지만, 현재 강달러 현상은 글로벌시장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로 1997년 외환위기 상황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제회복과 향후 근원물가 전망은?

근원 생산자물가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지표를 말한다. 

이창용 총재는 “근원물가 성격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천천히 변화한다”며 “연초 4%대 있는 근원물가가 시간이 흘러 3%대로 이동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관건은 중국의 경제 회복(리오프닝) 효과”라며 “한국에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과거 600만명에서 현재 20만명으로 줄어들었는데 이게 얼마나 빠르게 회복되느냐가 국내 내수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의 경제 회복으로 에너지 수요가 많아지고, 그만큼 국제에너지 가격이 예상보다 올라가면 국내 근원물가에 부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아직까지는 국제유가가 가파르게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