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디스플레이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인터뷰]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3/02/14 10:21    수정: 2023/02/14 16:19

"지금은 고인이 된 전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세계를 무대로 뛰면서 느낀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는 문구가 생각납니다. 전형적인 기업 간 거래(B2B) 산업인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수요와 시장 창출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투명·자동차·확장현실(XR) 등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까지 시장이 커지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국내는 좁아요. 일본·중국과 중소기업 무역 상담, 미국·유럽과 선진 기술 연구개발(R&D), 베트남·인도 진출 사업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지난 9일 서울 역삼동 협회 사무실에서 지디넷코리아와 인터뷰를 하며 디스플레이 세상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이렇게 말했다.

이 부회장은 “의사가 보호자에게 ‘제가 수술을 완벽하게 마쳤는데요, 환자는 죽었네요’라고 말하면 무슨 소용 있겠느냐”며 “시장 없는 기술로는 쓸모 없다”고 강조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9일 서울 역삼동 협회 사무실에서 지디넷코리아와 인터뷰하고 있다. 뒤에서는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명화가 나오고 있다.(사진=유혜진 기자)

다음은 이동욱 부회장과의 일문일답.

Q. 연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공개된 미래 첨단 디스플레이 제품이 실제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나.

"CES에서 디스플레이 시장은 무궁무진하다는 점을 느꼈다. 57인치 디스플레이가 자동차 계기판을 가득 채우고, 상소문처럼 미끄러지듯 펼칠 수 있는(Slidable·슬라이더블) 18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 천장에서 내려온다. TV처럼 이미 형성된 시장보다 이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게 중요하다. 다음 달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릴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미래차 디스플레이 포럼’을 개최해 자동차‧디스플레이 산업 전망과 최신 기술을 공유하기로 했다. 지난해 말 ‘XR 디스플레이 산업 협의체’도 발족했다. TV를 사려는 소비자가 ‘삼성전자냐 LG전자냐’만 따질 게 아니라 어디서 만든 디스플레이인지 고르길 기대한다."

Q. 조세특례제한법으로 디스플레이를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해 시설투자 세액공제율이 2배 높아진다. 산업에서 어떤 효과를 볼 수 있나.

"디스플레이가 국가첨단전략기술로 뽑혀 설비 투자 세액공제율을 올리는 정책을 환영한다. 한국이 2004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1위를 달성하게 한 지원 이후 20년 만에 가장 파격적인 정부의 투자 지원책이다. 한편에서 대기업만 위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사실이 아니다. 중소·중견기업 낙수효과로 이어진다. 협회 211개 회원사 가운데 패널 2개사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를 뺀 나머지가 중소‧중견기업이다. 통계청 기준 디스플레이 1천297개사도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한민국 영업사원’을 자처한 만큼 조세특례제한법이 하루빨리 개정되기 바란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왼쪽)이 9일 서울 역삼동 협회 사무실에 설치한 투명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뒤에서 지디넷코리아와 인터뷰하고 있다.(사진=유혜진 기자)

Q.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이 얼마나 되나. 협회는 소부장 업체를 위해 무엇을 하는지.

"디스플레이 소부장 국산화율은 65%로, 35% 수준인 반도체보다 높다. 이달 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일 디스플레이 장비 부분품 무역 상담회를 열었다. 국내 16개 부분품 기업이 일본 장비 3개사 알박·히타치·칸켄과 130억원 규모로 무역을 상담했다. 이후 후속 회의 11건을 약속했다. 협회는 지난해 6월 ‘디스플레이 핵심 공정 유닛 협의체’를 세우고, 8월에는 국내 장비-부분품 기업 간 기술 상담회를 개최했다."

Q. 인재가 디스플레이가 아닌 반도체·이차전지로 몰린다는 지적을 어떻게 생각하나.

"반도체와 배터리를 둘러싼 국내외 관심이 커 디스플레이 인력을 채용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었다.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대학에 계약학과를 만들기도 했다.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특성화 대학원이 지정되면 고급 인력이 많이 배출될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소재 전문가뿐만 아니라 올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전문 인력 양성 사업, 산업계 주도 인력 양성 기관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회는 오는 8월 디스플레이 채용박람회를 열고 소부장 기업의 인력 채용을 도울 계획이다."

관련기사

Q. 관련 산업 기술 유출에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디스플레이는 경쟁국의 기술 탈취로 피해를 입은 대표 산업이다. 국가정보원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조사한 기술 유출 사례 중 디스플레이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반도체와 전기·전자 순이었다. 대기업은 스스로 기술과 인력을 지킬 수 있기에 협회는 중소‧중견기업이 기술을 빼앗기지 않도록 돕고 있다. ‘산업기술보안협의회’를 꾸려 기술 유출 사례를 분석하고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디스플레이 소부장 기업은 실무 보안 안내 책자로 기밀 문서를 보관하는 법과 기술·인력 유출 방지 방법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