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2023년 위기, 본업·디지털 경쟁력 강화로 돌파"

시무식 열고 고객 동반 성장 강조

금융입력 :2023/01/02 11:15

4대 금융지주(신한·KB·하나·우리금융) 회장들이 2일 신년사를 통해 2023년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말미암아 경제 위기가 예상하면서 금융 본업에 충실하고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해 돌파해나갈 것을 주문했다.

2022년 리딩뱅크 지위를 가져온 신한금융지주 조용병 회장은 "수익과 규모의 크기보다 더 중요한 기준은 신한과 동행하는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가 함께 성장하는 것"이라면서 "이는 금융 본업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에서 시작되며 원칙과 기본을 지키며 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자"고 말했다.

신한금융그룹 조용병 회장이 2일 신년사를 하고 있다.

KB금융 윤종규 회장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덩치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의 혹한기 또는 빙하기가 왔을 때 견딜 수 있는 체력을 기르는 것"이라며 "당장의 이익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성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 오른쪽에서 세번째) KB금융그룹 윤종규 회장이 2일 신년사 이후 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어 윤 회장은 "‘KB스타뱅킹’과 ‘KB Pay’를 중심으로 KB의 서비스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고객 경험을 확장해 나간다면 '금융플랫폼은 KB가 최고'라는 인식을 심을 수 있을 것"이라며 디지털 경쟁력 강화도 주문했다.

하나금융지주 함영주 회장은 "2023년은 업(業)의 본질적인 위기라 할 수 있는 각종 지표와 시장의 변동성 확대, 인플레이션의 심화와 경기침체 전망에서 파생된 건전성과 유동성 이슈까지 불거지고 있다"며 "기업금융(IB)·외국환·자산관리·캐피탈·신탁 등 우리가 잘하는 것을 전면에 내세워 강점을 극대화하는 등 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은행 부문의 인수합병(M&A)과 모빌리티·헬스케어·가상자산 등 비금융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제휴와 투자를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회장.

함 회장은 "디지털을 통해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금융을 이용하고 직원이 효율적으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개선하는 디지털 금융 혁신이 필요하다"며 "가상자산, 메타버스 등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디지털 영역 개척을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하게 도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금융지주 손태승 회장은 "상반기까지 내실 경영을 하되, 그 뒤에 따라올 기회 또한 즉각 잡을 수 있도록 성장 엔진의 피봇도 도모해야 한다"며 "올해 종합금융그룹으로서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리금융그룹 손태승 회장

손태승 회장은 "증권·보험·벤처캐피탈(VC) 등 작년에 시장이 불안정하여 보류해온 비은행 사업포트폴리오 확대는 올해 속도를 높일 것"이라며 "우리원(WON)카, 원멤버스, 원비즈플라자 등 그룹사 통합 플랫폼과 공동영업시스템을 통해 그룹시너지도 극대화하고, 비금융업 분야 사업기회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손태승 회장은 "고객 중심 디지털 플랫폼 확장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며 "인공지능(AI), 데이터 등 금융의 핵심 미래기술 분야는 업계를 선도하고, NFT나 블록체인 등 다양한 혁신기술들도 신사업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