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1분기 중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 개선방안을 수립한다. 이는 지난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와 그로 인한 부가통신서비스 장애에 대한 후속 조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방송통신위원회, 소방청과 함께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와 카카오·네이버 등 부가통신서비스 장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정부는 SK C&C, 카카오, 네이버 3사에게 1개월 이내 주요 사고원인에 대한 개선조치와 향후 계획을 수립해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과기정통부는 3사가 제출한 조치결과와 향후 조치계획, 전문가 의견, 법·제도 개선사항을 반영해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내년 1분기 중 수립할 예정이다.
데이터센터 화재 피해 왜 커졌나, 살펴보니
화재는 지난 10월15일 오후 3시19분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지하 3층 배터리실에서 시작됐다. 화재는 오후 11시45분에 완전히 진압됐으나 건물 전력 차단 등의 사유로 카카오, 네이버 등 입주기업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데이터센터는 화재진압 후 순차적으로 전력공급을 재개해 19일 오전 5시부터 정상화됐다.
과기정통부는 SK C&C의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한 후 가스 소화 장비가 작동됐으나, 가스 소화가 어려운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 상 초기 진압에 한계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일부 무정전 전원 장치(UPS)와 물리적으로 완벽히 분리되지 않은 공간에 배치돼 있어 열기 등으로 UPS 작동이 중지됐다는 설명이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살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살수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특정 구역과 차단 스위치를 단시간 내 구별할 수 없어 선별적 차단 조치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장애와 이용자 피해가 가장 광범위하게 나타난 카카오의 경우 서비스 대부분의 핵심 기능이 판교 데이터센터에 집중돼 있었다. 이에 화재 발생으로 카카오 대부분의 서비스가 즉각 영향을 받게 됐다.
카카오는 주요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순차적으로 복구하고 일부 서버를 이전하는 등 조치를 통해 20일 오후 11시경 정상화됐다. 네이버는 일부 기능 오류가 발생했으며 주요 서비스와 기능은 약 20분에서 12시간 내 정상화됐다.기능도 판교 데이터센터에 집중돼, 여러 서비스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정부, SK C&C·카카오·네이버에 시정 요구
정부는 사고 직후 '방송통신재난 대책본부'를 구성·운영해 신속한 장애 복구를 독려하고 원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SK C&C에는 데이터센터 화재 감지 시스템 구축 방안 수립을, 카카오에는 서비스 다중화와 이용자 보상 계획 수립 등을 요구했다. 네이버에도 장애 시나리오별 복구 방안을 재점검할 것을 요청했다.
단기적으로 조치 가능한 사항은 각 사가 선제적으로 조치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중·장기적으로 조치가 필요하거나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3사에 향후 조치 계획을 1개월 내 보고하도록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한전, 과기정통부 주최 제21회 정보보호 대상 수상2022.11.25
- '통신서비스 안정성‧생존성 강화'...과기정통부, 내년도 통신재난관리 계획 의결2022.11.29
- 과기정통부, 전파방송산업 진흥주간 개최2022.11.21
- 과기정통부-질병청, 데이터·AI 기반 방역 포럼 개최2022.11.18
아울러 방통위는 카카오 등에 대해 피해접수 전담 창구 개설과 피해 보상 협의체를 마련해 실질적인 구제방안을 수립·이행하도록 했다. 향후 통신장애가 발생했을 때 이용자 고지와 실효성 있는 피해 구제를 위한 법령과 이용약관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주요 디지털서비스에 대한 재난대응 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각 사업자별 개선방안, 점검결과, 제도 개선 등을 종합해 디지털 시대에 맞는 안정성 강화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로써 끊김없는 디지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확고한 디지털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