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원전해체산업 집중 육성…1억달러 수주 목표

산업부, '원전해체 경쟁력 협의회' 개최… 전문기업 100개·전문인력 2500명 양성2030년까지 2500억 투입해 기술 고도화

디지털경제입력 :2022/12/02 15:18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해체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방침을 세웠다. 전문기업 100개, 전문인력 2천500명을 달성하고 해외에서 1억 달러 규모를 수주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원전해체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번 방안의 목표로 2030년까지 해외 1억 달러 수주, 전문 기업 100개 육성, 전문 인력 2천500명 양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3천482억원을 투입해 원전 해체 산업 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기술을 고도화하고, 중수로 해체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한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실적 확보를 위한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기술 인증과 전문기업 확인 제도를 신설하는 한편, 국내 해체 역량에 맞춘 단계적 해외 진출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전경

아울러 지난달 착공한 원전해체연구소를 해체기술 실증체계과 원스톱 수출 컨설팅 기능을 함께 갖춘 종합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어 개최된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에는 산·학·연 전문가와 일반인 200여명이 참석해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위한 기관·기업별 진출 전략과 해외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추진 전략을 모색했다.

관련기사

주제발표에 나선 프랑스 국영 원전기업 오라노 측은 "국가별 특성에 맞는 해체 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 기술과 인력 확보, 원전해체 종합계획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은 수출주도형 국가인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될 기회"라며 "원전 해체 산업 생태계 구축과 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