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전 분야 가로지르는 표준화가 중요"

내년 마이데이터 표준화 10개 분야로 확대…"이종 간 데이터 표준화 및 바텁 업 방식 추진"

컴퓨팅입력 :2022/11/21 11:00

기존에 5개 분야로 제한돼 우선 시행됐던 마이데이터 표준화 작업이 내년에는 5개 분야가 추가돼, 총 10개 분야로 확대된다. 마이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한 보안·인증·식별기술도 고도화될 예정이다.

2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내년에는 마이데이터 표준화 진행 업종이 확대된다.

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가 본인 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갖고 본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 보유기관에 대한 본인·제3자 대상 전송요구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KISA 심동욱 데이터안전활용단장은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이 도입되면 수동적이었던 정보 주체가 능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큰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이데이터가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반복 수집을 막고 상호 운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분야별 전송 방식·인증 등 상이한 형식으로 인해 데이터 연계가 어려운 부분도 해결할 수 있다.

심 단장은 "마이데이터가 분야별로 존재하는 것도 의미있지만, 이보다는 정보 주체 편입이나 산업적 활용성을 봤을 때, 전 분야를 가로지르는 폭넓은 개념의 마이데이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존 마이데이터 표준화 우선 추진 분야는 ▲정보·통신 ▲국토·교통 ▲유통 ▲교육 ▲문화·여가다. 내년에는 신규 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한다. 현재 5대 우선 분야에서 빠져 있는 복지, 부동산 등과 같은 분야를 신규 발굴해 표준화 데이터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심 단장은"올해 5대 분야의 20개 전후되는 업종에 대해서 표준화 진행을 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전송방식 규격화와 식별 방안 등의 작업을 마무리하고 분야별 정보맵 개발을 확정지으려 한다"며 "교육-유통 등 이종 분야 간의 데이터 표준화 적합성도 맞춰 나가야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올해까지 조사한 바로는 부동산과 복지 분야가 데이터 표준화 수요가 있었다"며 "내년에는 우선순위에 대해서 시장 현황이 바뀔 수 있어 다시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표준화 추진 방식은 탑 다운(Top-Down) 방식으로 진행됐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발굴 및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수요를 우선 추진분야 관련 활용 사업자, 관계 기관 등의 관점에서 파악했다면, 이제는 서비스 사업자, 정보 수신자 등의 관점에서 데이터 수요를 파악하는 바텀 업(Bottom-Up)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국정 과제인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구축하고, 국민 맞춤형 서비스에 필요한 개인정보 확보 및 연계가 가능하도록 '마이데이터 종합 지원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심 단장은 "마이데이터를 건강하고 생산적인 분야로 만드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바"라며 "정보 주체가 어떻게 편익을 얻을 수 있을지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산업적인 효과도 같이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