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아닌 OTT TV"…U+tv 전격 개편

실시간 방송·VOD·OTT 통합 추천 및 검색 기능 갖춰

방송/통신입력 :2022/11/20 11:27    수정: 2022/11/20 17:59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사업자들을 경쟁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파트너라고 보고 있다. 소비자 이용 패턴은 OTT 지향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 패턴에 순응하지 않으면 시장에 도태될 것이다."

박준동 LG유플러스 컨슈머그룹장은 지난 17일 서울 용산구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IPTV 서비스 U+tv를 OTT TV로 진화시킨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청자의 미디어 이용 패턴 변화에 맞춰 실시간 채널을 물론 VOD, OTT 등을 U+tv에서 모아서 볼 수 있도록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U+tv에서 볼 수 있는 OTT는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티빙. 내년 초에는 왓챠도 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제휴를 확대해 U+tv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를 더욱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박 상무는 "소비자가 OTT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 U+tv, 달라진 점 살펴보니

U+tv는 실시간 방송을 보는 동시에 하단 '런처'를 통해 OTT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면 실시간 채널·VOD·OTT 중 시청 가능한 플랫폼을 알려준다. 실시간 채널의 경우 시청을 예약할 수도 있다.

개개인의 시청패턴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도 특징이다. U+tv는 IPTV 4개, 아이들나라 3개 등 총 7개까지 프로필을 세분화할 수 있다. 런처 화면에서 IPTV 프로필을 선택하면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좋아하는 채널과 최근 본 영상, 자주 사용한 TV앱, VOD 맞춤 콘텐츠 등이 표시된다. 

콘텐츠 추천은 U+tv가 가지고 있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 프로필별 시청 취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형태다. 박 상무는 "만약 가족 구성원이 4명이고 각각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면, 이들이 가지고 있는 취향에 따라 각각 다른 콘텐츠가 추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화면에서 OTT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실시간 통합 추천하고, VOD·실시간 채널·인물에 대한 급상승 인기 순위를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박 상무는 "내년 1월을 목표로 타사 OTT 콘텐츠를 모두 통합한 랭킹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 구글 크롬캐스트TV 출시 계획도 밝혀

LG유플러스는 초소형 동글형 셋톱박스인 '구글 크롬캐스트TV'를 오는 30일 출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복잡한 배선이나 디바이스 노출 없이 심플한 디자인에 다양한 OTT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박 상무는 "실시간 방송을 넣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태블릿 PC와 같은 개인화 디바이스와 연동해 쓰게 되면 부모님이 거실에서는 TV를 보고 자녀는 방에서는 각각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구글 크롬캐스트TV를 만드는 과정에서 다양한 제약을 겪었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탑재해야 했으며, 실시간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달해야 했다. 박 상무는 "LG유플러스는 태블릿 기반의 이동형 IPTV를 선보인 바 있다"며 "이 기술을 통해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앱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실시간 정보 전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로 무선품질이 확보돼야 소비자가 안정적으로 IPTV를 시청할 수 있는지 기준을 확립했다"며 매쉬 네트워크를 통해 음영 지역을 해결했다고 말했다. 박 상무는 "전파 크기에 한계가 있어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없을 수 있다"며 "유선 케이블을 젠더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개편에 맞춰 ▲IPTV OTT 요금제 ▲모두의 할인팩 ▲유독 등 다양한 형태의 요금제를 선보였다. 내년 상반기에는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해 플랫폼 경쟁력을 갖추고 신규 수익모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