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삼성' 이재용 회장 시대..."세상에 없던 기술·인재에 투자"

반도체·바이오·배터리 투자 강화...'기술·인재' 육성해 위기 돌파

디지털경제입력 :2022/10/27 14:42    수정: 2022/10/27 16:51

이재용 회장의 '뉴삼성' 시대가 시작됐다. 이 회장은 작금의 삼성전자가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하고 반도체, 바이오, 배터리 사업을 키워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미래 기술'과 '인재'에 투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회장은 27일 오전 이사회 의결을 통해 회장으로 승진했다. 1991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2012년 12월 부회장으로 승진한 후 10년 만에 회장에 올랐다. 부친인 고 이건희 회장이 2020년 10월 별세한 지 2년 만에 회장 취임이다.

11일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재용 부회장의 모습 (사진 가운데)(사진=삼성)

이 회장은 이날 삼성 사내게시판에 올린 취임사에서 "안타깝게도 지난 몇년간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라며 "새로운 분야를 선도하지 못했고, 기존 시장에서는 추격자들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 앞에 놓인 현실은 엄중하고 시장은 냉혹하다"며 "성별과 국적을 불문하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인재를 모셔오고, 양성해야 한다. 세상에 없는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삼성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소비 시장 위축으로 스마트폰, 가전,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이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그 중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은 전세계 점유율 1위지만, 2위인 애플의 강세로 긴장감을 놓을 수 없다. 삼성 텃밭인 국내 시장에서 애플은 올 2분기 21%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올 3분기 30%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반도체 또한 위기다. 세트 시장 침체로 메모리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서 3분기 반도체(DS 부문) 영업이익은 5조1천200억원으로 전년 동기(10조600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더불어 작년 인텔로부터 3년 만에 탈환했던 세계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는 대만 파운드리 업체인 TSMC에 내주게 됐다.

이렇게 안팎의 사업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향후 이 회장의 '뉴 삼성' 경영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 반도체·바이오·배터리 집중 투자로 '미래 먹거리' 마련

이 회장은 미래 먹거리로 반도체, 바이오, 배터리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삼성은 반도체, 바이오, 신성장 IT 연구개발(R&D) 등에 향후 5년 동안 450조원(국내 36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중 시스템반도체는 이 회장이 주력으로 투자하는 분야다. 2019년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1위를 달성하겠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하고 파운드리 투자를 늘렸다. 현재 삼성전자는 국내 평택 캠퍼스와 미국 텍사스 테일러시에 파운드리 공장을 추가로 증설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을 위해 2028년까지 기흥 반도체 R&D 단지 조성에 약 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19일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R&D단지 기공식에 참석한 이재용 부회장(왼쪽에서 두번째)의 모습 (왼쪽부터) 정은승 DS부문 CTO, 이재용 부회장, 경계현 DS부문장, 진교영 삼성종합기술원장(사진=삼성전자)

이 회장은 지난 8월 기흥 반도체 R&D 단지 기공식에 참석해 "차세대뿐만 아니라 차차세대 제품에 대한 과감한 R&D 투자가 없었다면 오늘의 삼성 반도체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고 강조한 바 있다.

이 회장은 바이오를 미래 먹거리로 육성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이루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삼성은 향후 10년간 7조5천억원을 투입해 송도에 '제2 바이오 캠퍼스'를 조성하고 있다.

지난 2011년 설립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사업 시작 10년 만에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에서 독보적 1위로 올라섰다. 삼성은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확대와 고도화를 통해 바이오 사업을 계속 육성할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도 미래 먹거리 사업 중 하나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배터리는 전기차 시장 확대로 높은 수익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지난 6월 유럽 출장 당시 헝가리의 삼성SDI 공장을 방문해 점검하고 고객사인 BMW 회장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삼성SDI는 지난 5월에는 미국의 스텔란티스와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을 설립했고, 7월에는 1조7천억원을 투입하는 말레이시아 배터리 2공장 기공식을 가지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삼성SDI는 3분기 실적은 매출 5조3천679억원으로 사상 첫 5조원대 분기 실적을 냈다. 3분기 영업이익 5천659억원은 전년 보다 51.5% 증가한 실적이다. 

■ 이재용 뉴삼성 키워드는 '기술·인재'

삼성은 인재와 기술의 중요성을 줄곧 강조해 왔다. 이 회장의 '뉴삼성'에서도 이 같은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지난 6월 유럽출장 후 귀국하는 자리에서 소감을 묻는 기자단에게 "우리가 할 일은 좋은 사람 모셔오고, 조직이 예측할 수 있는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연한 문화를 만드는 것"이라며 "그 다음에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이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회장은 이달 열린 '2022년 국제기능올림픽' 폐회식에서도 선수단에 "산업이 고도화되고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제조 현장의 젊은 기술 인재와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격려했다. 또 "맨주먹이었던 대한민국이 이만큼 발전할 수 있었던 것도 젊은 기술 인재 덕분이다"고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회장은 회장 취임사에서도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앞서 준비하고 실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라며 "최고의 기술은 훌륭한 인재들이 만들어낸다"고 기술과 인재 육성을 언급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미국 출장 중에도 구글, 아마존, MS 등 '혁신'을 통해 글로벌 리더로 올라선 기업들의 경영진과 만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육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의 새로운 인사제도 개편은 이재용 회장이 이끄는 '뉴삼성' 비전을 구체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 "회사와 직원들이 함께 성장하는 미래지향적 조직문화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회장 프로필]

1968년생으로 올해 55세(만 54세)다. 1991년 삼성전자 공채 32기로 총무그룹에 입사해 실무 경력을 쌓았고, 2001년 삼성전자 경영기획팀 상무보를 맡으며 경영진에 발을 들였다. 2003년 경영기획팀 상무로 승진, 2007년 삼성전자 전무 겸 CCO(최고고객책임자)로 승진, 2010년 부사장 겸 COO(최고운영책임자)로 승진했다. 2012년 삼성전자 부회장으로 승진한 후, 2022년 10월 27일 삼성전자 회장으로 취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