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소 100곳 중 7곳 안전 이상…충전시설 개선한다

정부, 관련 업체·기관 개선의견 수렴 간담회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2/10/18 18:01

현재 전기차 충전 시설 100곳 가운데 7곳 꼴로 안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시설 안전 관리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AC메리어트호텔에서 전기차(테슬라)와 충전시설 제조업체(대영채비, 이카플러그 등), 학계(서울대), 관련 협회(전기공사협회·전기기술인협회·대한전기협회), 국가기술표준원 등 관련 업체·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전이 전력연구원에 구축한 실증용 '플러그 앤 차지' 전기차 충전소.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2017년 2만5천108대, 2018년 5만5천756대, 2019년 8만9천918대, 2020년 13만4천962대, 지난해 23만1천443대에 이어 올해 들어 8월까지 32만8천267대로 급증세다.

전기차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충전시설 보급 확대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전기차 충·방전 설비 안전관리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사에서 전기차 충전시설을 점검한 결과 점검 대상 5천483개 가운데 337개소(6.6%)가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전기차 충전 시설 100곳 가운데 7곳꼴로 안전에 문제가 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특히 전기차 충전시설은 생활 밀접 장소에 설치돼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피해가 커질 수 있다.

관련기사

간담회는 상시 안전 관리체계 도입과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 예방, 방수·방진 안전 기준, 급속 충전시설 비상 정지 장치 설치 등에 대한 관련 업계의 의견 수렴을 통해 실효성 높은 안전 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선기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최근 태풍 등 집중호우로 충전시설 침수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 증가에 따라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며 "제조부터 유지관리까지 단계별 안전관리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