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저궤도 위성통신’ 예타 재도전...2026년 첫 통신위성 발사

2024년부터 8년간 5천700억원 투자 규모 R&D 기획

방송/통신입력 :2022/10/18 15:36    수정: 2022/10/18 15:54

정부가 6G 통신 시대 필수적인 기반으로 여겨지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지난해 고배를 마신 국가R&D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다시 도전장을 던지고, 위성통신 후진국을 벗어나 자체적인 기술 확보를 주된 목표로 삼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1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 기획안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이 사업은 저궤도 위성통신 관련 ▲통신 탑재체 ▲본체 ▲시스템과 체계종합(조립, 발사, 운용 등) ▲지상국 ▲단말국 등 5개 분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2024년부터 8년 간 약 5천700억원 규모로 기획됐다.

2026년 1차 통신위성 발사, 2029년 2차 발사로 준비되고 있다. 지구관측 위성의 운영 경험은 있지만 통신위성 개발 경험이 적은 탓에 쉽지 않은 과제다.

우선 500km 고도에 1차 발사 위성 1기를 올려두고 지상국과 검증을 거친 뒤 2차 발사에서는 광통신 레이터 터미널 기능을 더하는 등 이전보다 고도화된 통신위성 3기를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2기 발사에서는 1기 발사의 경험을 더한다.

지난해 예타 조사에서 사업 결과물의 활용에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올해는 군사 관련 사업 수요를 등에 업었다.

공공 외에 민간에서의 수요도 크게 점쳐진다.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2위 회사인 애플이 이미 위성통신 기능을 일반 휴대폰에 탑재했다. 일반 대중에 위성통신이 빠르게 확산될 환경이 갖춰지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 하늘을 나는 택시로 불리는 UAM의 상용화를 앞두고 해외 위성에만 의존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전쟁으로 사회 인프라가 모두 붕괴되는 우크라이나에서 스타링크의 서비스가 버팀목 역할을 하는 점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해외에서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선점 경쟁이 매우 치열하지만, 국내기업의 기술력을 고려하면 사정이 만만치 않다. 향후 글로벌 기업의 국내 위성통신 시장을 잠식할 수 있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기간통신망을 해외 위성에 의존할 수 있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는 뜻이다. 최근 카카오의 장애에서 나타났듯이 기간통신망과 같은 사회 인프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6G 통신 기술개발이 여러 나라에서 전략적으로 이뤄지는 점도 살펴야 한다. 위성통신은 6G 통신의 핵심으로 꼽힌다. 국가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의 분위기를 고려할 때 자체적인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저궤도 위성통신은 UAM, 자율운항선박 등 신산업 창출을 뒷받침하고 재난 상황에도 신속히 대응 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국내기업들이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