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 6일 남해안 덮친다....'매미'급 "큰 피해 우려"

태풍 경로, 대한해협 통과→경남 남해안 상륙

생활입력 :2022/09/02 13:35    수정: 2022/09/02 14:27

온라인이슈팀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가 오는 6일께 우리나라 경남 남해안으로 상륙할 것으로 기상청이 전망했다.

2일 기상청 수시 브리핑에 따르면, 힌남노는 이날 오전 9시 기준 타이완 타이베이 남동쪽 약 56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중심기압은 935h㎩(헥토파스칼), 강풍반경은 340㎞이다. 중심최대풍속은 초속 49m로 '매우 강' 단계다.

[서울=뉴시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전 9시 현재 태풍 '힌남노'는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약 560㎞ 해상에서 북북서진 하고 있다. 6일 오전 9시경에는 부산 남서쪽 약 90㎞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예상 중심기압은 950hPa, 최대 풍속은 초속 43m 수준으로 '매우 강'에서 '강'으로 다소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힌남노가 당초 예상보다 남쪽으로 내려가 정체단계에 머무르며 중심기압이 전날(915hPa)보다 20hPa 높아져 일시적으로 약화됐지만, 북상하면서 다시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상 속도인 시속 2㎞는 사람이 걷는 정도의 속도다.

이에 따라 힌남노는 5일 오전 9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약 500㎞ 부근 해상에 다다른 뒤 6일 오전 9시경에는 부산 남서쪽 약 90㎞ 부근 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힌남노의 북상 경로가 서쪽으로 치우치며 남북 약 30~50㎞ 정도 경로가 조정되면서 당초 대한해협을 통과하리라던 예상과 달리 6일 오전 국내에 상륙할 것으로 관측을 수정했다.

태풍의 국내 상륙은 지난해 8월 경남 고성 부근 해안으로 상륙했던 제12호 태풍 '오마이스' 이후 1년 만이다.

힌남노 상륙 지역은 경남 남해안 부근으로 추정되나 아직 지역을 특정할 수 없는 단계라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경남 남해안 상륙 시점은 6일 새벽에서 아침 사이로 예상했다.

우진규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태풍이 6일 경 대체로 경남 남해안 일대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하나 아직 특정 지역을 구분하기는 어렵다"며 "계속 태풍위치가 변화하면서 가장 심하게 변동될 경우 경남이 아닌 전남 남해안이 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힌남노가 오늘(2일) 밤 다소 서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북상하는 것과, 오는 3~4일 사이 북위 30도선을 넘기 전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에 따라 태풍의 경로도 변화할 수 있다. 우 예보분석관은 "현재부터 오늘 오후 등 밤까지, 3일에서 4일로 넘어가는 시기가 태풍의 변곡점, 고비가 아닐까 싶다"고 밝혔다.

상륙 시점의 예상 중심기압은 950hPa, 최대 풍속은 초속 43m 수준이다. 제주와 남해안, 경상 동해안 일대에는 초속 50m 이상(시속 180㎞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힌남노의 영향 시점 중심 기압을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상륙해 큰 피해를 입혔던 1995년 사라(SARAH·951.5hPa), 2003년 매미(MAEMI·954hPa)와 비슷한 940~950hPa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우 예보분석관은 "여태 이렇게 낮은 중심기압의 태풍이 유입된 적이 없기에 한번도 예상 못한 강한 태풍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기상청이 우려하는 부분"이라며 "심각한 자연재해에 의한 인명·재산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대비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태풍의 경로가 미세하게 바뀌며 4일부터 태풍이 지나가는 7일까지 경기남부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됐다.

예상 강수량은 우선 태풍 북상 전 1차 영향에 따라 2일부터 4일까지 제주 누적 강수량 100~250㎜, 많은 곳은 350㎜ 이상의 비가 내리겠다. 전남 남해안과 경남권 해안에는 50~150㎜의 비가 예상된다.

경북권 남부과 경남내륙, 3일부터는 남해안을 제외한 전남권, 4일부터는 수도권과 서해5도에 20~70㎜의 비가 내릴 수 있다. 강원영동과 경북북부, 3일부터 충청권과 전북과 울릉도·독도, 4일 강원영서는 10~50㎜의 비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기상청은 태풍이 인접하는 5일 밤부터 6일 사이 해수면 상승과 강한 바람으로 인한 폭풍해일과 역류, 하천 범람에 따른 저지대 침수가 일어날 수 있고, 많은 비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사태, 건물과 공사현장의 옥외간판 등 시설물이 파손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구역에 각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안내했다.

제공=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