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원전 30% 확대…러시아 '우라늄' 막히면 어쩌나

우라늄 매장량 3위 러시아…국제사회 러 우라늄 제재시 대체 수급처 방법 없어

디지털경제입력 :2022/07/25 18:44    수정: 2022/07/26 08:52

올해 초 시작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에너지 공급망을 크게 흔들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을 돌파하는가하면 광물·원자재 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배터리와 반도체 기업 공급난이 심화했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는 원자력발전 확대를 공언했다.  

원전은 핵연료를 동력으로 사용한다. 핵연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우라늄이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총 460톤의 농축 우라늄을 수입했다. 러시아·영국·프랑스에서 약 33%씩 수입하고 있다. 문제는 농축 우라늄을 상당부분 러시아에 의존하다 보니 국제 사회가 러시아산 우라늄에 제재를 가하면 정부의 원전 확대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사진=한국전력

러시아는 세계 우라늄 매장량에서 10%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농축 우라늄의 35%를 러시아 우라늄 공급기업 로사톰과 관련 자회사가 공급하고 있다. 특히 농축 우라늄은 핵무기 연료로도 사용될 수 있어 국제 사회의 엄격한 감시를 받는다. 또 고도 기술을 필요로해 수입하는 국가도 얼마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대체 수급처를 찾는 것도 까다롭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 공학부 교수는 "우라늄 대체 수급처를 찾아야 하는 것이 현실이지만 농축 기술을 가지고 있는 국가 자체가 몇 되지 않아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한 해 수입하는 농축 우라늄은 430톤 선이다. 그러나 정부는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와 함께 2030년까지 원전 발전을 30%까지 확대키로 했다. 늘어나는 원전 발전 비중과 함께 우라늄 수입액도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발생한 지난 3월부터 러시아산 우라늄 제재 시도를 본격화했다.

제니퍼 그랜홈 미 에너지부 장관은 최근 "어떤 이유에서든 미국은 에너지와 관련해 러시아에 돈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면서 "러시아산 우라늄 수입금지에도 미국 내 원전이 문제없이 운영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혀 러시아산 우라늄 수입 제재 가능성이 커졌다.

관련기사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푸틴 대통령 트위터

이와 반대로 러시아가 미국과 잠재적 패권 전선을 확대하면서 우라늄을 전략 물자화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미국내 우라늄 전체 수입 비중을 보면 러시아산이 16%로 3위다. 같은 해 유럽연합(EU)도 우라늄 수입의 20%를 러시아에 의존했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현재 우리나라는 러시아의 비우호국 명단에 올라가 있어 우라늄 수입이 제한되면 손 쓸 도리가 없다"면서 "원전을 활용하려면 실질적 에너지 안보에 대한 점검이 선행돼야 하는데 지금 정부는 별 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