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5명 중 1명 이상 ‘비만’…코로나19 유행 영향 대책 수립 시급

2019년보다 2021년 학령기 비만율, 초등생 4.5%p•중학생 3.9%p•고교생 0.3%p↑

헬스케어입력 :2022/07/17 12:58    수정: 2022/07/17 13:00

코로나19 유행기간동안 학령기 비만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국가차원의 대책이 요구된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작년 서울시 초·중·고교생 5명 가운데 1명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3명은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확인됐다.

신현영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2021년 학생건강검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학년별 비만도는 ▲초등생 19.5% ▲중학생 19.4% ▲고교생 23.6% 등이었다. 즉, 5명 가운데 1명 이상이 비만인 셈이다.

서울시 초등생의 비만도는 ▲2017년 9.1% ▲2018년 10.2% ▲2019년 15% ▲2021년 19.5%등으로 증가했다. 2017년 대비 2021년 초등학생 비만율은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이후 지난 2년간 4.5%p 늘어났다.

2017년~2021년 서울시 초중고교생 (단위: %, 자료: 서울시교육청 표본학교 데이터, 신현영 의원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의 비만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까지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만도는 비슷한 비율이었지만, 코로나19 2년 후인 2021년 기준 ▲1학년 3.4%p ▲4학년 6.8%p 등으로 비만도가 증가했다. 여기에 과체중 비율까지 고려하면 초등학교 1학년은 4명에 한 명꼴, 4학년은 3명에 한 명꼴로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셈이다 .

신현영 의원은 이러한 현상이 초등학교 저학년 동안 규칙적으로 등·하교 통학을 하던 학생들이 비대면수업 등 신체활동 저하와 불규칙한 생활습관, 급식이 아닌 다른 식습관을 통한 개인생활 차이에 따라 비만 여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했다.

또 서울시 중학생의 비만도는 ▲2017년 13.5% ▲2018년 15.7% ▲2021년 19.4%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2021년은 2019년과 비교해 3.9%p 늘어난 것.

반면, 고등학생의 비만도는 2017년 23.1%에서 2021년 23.6% 등으로 초등학교, 중학교의 비만도 증가와 비교해 가장 적게 늘었다. 다만, 과체중 비율은 2019년 4.9%에서 2021년 8.7%로 3.8%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 시기 온라인 수업과 체육활동의 최소화,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으로 인해 비만 학생들이 증가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소아청소년비만이 만성질환으로 이어지지 않게 하려면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와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국가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