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초정밀측위' 서비스, 자율주행·스마트항만으로 확대

골프 서비스에 이어 산업 확대 계획

방송/통신입력 :2022/07/11 09:33    수정: 2022/07/11 09:58

LG유플러스는 'U+초정밀측위' 서비스를 골프 서비스에 이어 자율주행, 스마트항만으로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센티미터(cm)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지난 3월부터 기업을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GPS로 알려진 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GNSS) 방식은 위성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리층과 대류권을 통과할 때 전파 지연으로 인해 최대 수십미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실시간 이동 측위(RTK) 기술을 활용해 이를 cm단위로 보정한다. 

RTK 기술은 ▲위도·경도·고도 등 절대 위치에 대한 값으로 기준점 역할을 하는 '기준국' ▲기준국 절대 위치값과 위성을 통해 측정한 기준국 위치값을 비교해 보정 정보를 생산하는 'RTK 서버' ▲위성이 측정한 단말의 위치 값에 RTK 서버가 생성한 보정 정보를 생성해 cm 단위 측위를 수행하는 'RTK 수신기'로 구성된다. 

기준국은 정확한 위치를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활용되기 때문에 기준국이 많을수록 더 정확한 초정밀 측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부터 기준국을 자체 구축하기 시작해 6월 말 기준 총 57개소 구축을 완료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 75개소와도 연동해 총 132개소 기준국을 기반으로 전국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보이스캐디 제조기업 브이씨와 손잡고 골프 기기에 초정밀 측위 기술을 접목한 데 이어, 올해 3분기에는 자율주행과 스마트항만으로 적용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를 채택한 기업으로는 ACELAB, 오토노모스에이투지 등이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혁신사업 '레벨4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팅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등에도 U+초정밀측위 기술 적용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부산항만공사,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사와 협력해 스마트항만에 U+초정밀측위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와는 항만에서 운영하는 장비와 장치에 초정밀 측위 기술을 적용했으며,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사와는 작업장의 안전관리를 위해 연내 적용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이 밖에도 택시, 버스, 인공지능(AI) 도로위험 정보분석 등 다양한 위치 기반 공공교통·운송 서비스에도 U+초정밀측위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은 "그간 높은 가격으로 활성화가 어려웠던 초정밀 측위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