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삼표시멘트·현대로템, 폐플라스틱 자원화 박차

엔지니어연합회·시멘트협회 등과 폐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생태계 구축 협약

디지털경제입력 :2022/06/30 13:55

LG화학은 30일 삼표시멘트·현대로템·한국엔지니어연합회·한국시멘트협회와 함께 '폐플라스틱의 시멘트 대체 연료 활용을 통한 자원 선순환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폐플라스틱 소각 이후 발생하는 부산물이 친환경 고부가 제품의 원료로 탈바꿈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대부분의 시멘트 업체는 유연탄을 주 연료로 활용한다. 최근에는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고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이 대체 연료로 인기다.

폐플라스틱을 연소하면 부산물인 염소 더스트가 발생한다. 염소 더스트는 폐기물로 분류되며 재활용 처리가 어려워 주로 매립에 의존한다. 이에 따른 환경 부담과 비용이 발생한다. 염소 성분은 시멘트 예열기 내부 벽체에 붙어 원료 이송을 방해하면서 설비 가동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LG화학·삼표시멘트·현대로템 등은 염소 더스트 재활용에 대한 기존 처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께 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폐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생태계 (자료=LG화학)

현대로템은 환경설비 전문 기업인 애니텍과  확보한 자원화 기술을 적용해 염소 더스트를 비료 원료인 염화칼륨(KCl)으로 만든다. 자원화 기술은 온실가스 저감은 물론 염소 부착 문제를 해결해 시멘트 제조 설비 안정성을 높인다. 삼표시멘트 삼척공장 내에 염소 더스트 처리 설비와 염화칼륨 생산 라인을 공급할 예정이다.

LG화학은 화학·물리적 기술을 접목해 염소가 소성로 내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정 기술과 염소 더스트 자원화 설비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술을 지원한다. 염소 더스트 자원화 공정으로 생성된 염화칼륨 순도를 높여 반도체 세정 원료인 가성칼륨(KOH)·탄산칼륨(K2CO3) 등 고부가 제품을 개발해 소재 국산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가성칼륨과 탄산칼륨의 원료인 염화칼륨은 국산화가 어려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삼표시멘트는 폐플라스틱을 유연탄 대체연료로 활용하고, 염소 더스트와 시멘트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광물화 공정과 염화칼륨 제조를 위한 증발 농축 공정의 운영 최적화로 폐기물 매립 제로화를 추진한다.

이호우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 Sustainability총괄 상무는 “폐플라스틱 자원화 사업 파트너들과 함께 각 사가 잘하는 역할들을 모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