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식품 인플레, 정점 멀었다…韓 하반기 8.4%↑" 경고

노무라홀딩스 보고서, "韓, 인도 다음으로 하반기 식품가격 상승률 높을 것"

인터넷입력 :2022/06/21 10:40

온라인이슈팀

팬데믹에 이은 전쟁으로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는 가운데, 한국과 싱가포르, 필리핀 등지에서 몇 달 내 식품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노무라홀딩스가 예측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노무라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전역에서 지난달 식품 가격은 전년 대비 5.9% 상승했다. 작년 12월에 2.7%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 도심의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쌀을 구매하고 있다. 2022.2.4./뉴스1 © News1 권현진 기자

글로벌 식품 가격 변동과 그 여파가 아시아에서 나타나기까지 대략 6개월 정도의 시차가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상승률은 올해 하반기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게 노무라의 분석이다. 중국의 팬데믹 봉쇄, 태국의 돼지 콜레라 발병, 인도의 폭염 등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노무라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심리는 식료품과 생필품 등 장바구니 물가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며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 기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이미 생활비가 너무 올라 이를 상쇄하기 위해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노무라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은 이미 곡물, 식용유, 고기, 가공식품, 외식비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쌀의 경우 지금까진 재고량이 충분해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밀값 폭등으로 대체 수요가 늘어나면 쌀값 역시 오를 수 있다.

이는 싱가포르처럼 식품 공급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엔 경고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노무라는 지적했다. 식품값 상승률은 현재 4.1%에서 올 하반기 8.2%로 2배가 될 수 있다고 노무라는 내다봤다.

노무라에 따르면 현재 물가상승률이 가장 높은 아시아 국가는 인도인데, 원자재값 인상으로 물가 상승율이 9.1%에 달한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이 5.9%에 달하며 10년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올 하반기에는 이보다 더 큰 8.4%의 오름세를 전망했다. 

관련기사

이밖에 싱가포르(8.2%), 필리핀(6.9%), 태국(6.8%), 인도네시아(6.3%), 홍콩(5.0%) 등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하반기 식품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