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상흔 이어 감염병까지…러시아 점령 우크라 도시서 콜레라 발생해

[이슈진단+] 우크라이나의 인도주의 재앙①

헬스케어입력 :2022/06/13 17:32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4개월째, 우크라이나의 상황은 점점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사망자는 최소 4만6천명, 비치명상 인원은 약 1만3천명, 실종자 수는 최소 400명에 이른다. 난민의 수는 최소 1천500만 명에 달하며, 2천300개의 건물이 붕괴됐으며, 재산 피해액은 6천억 달러로 추정된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심각한 인도주의 위협 상황에 처해있다. 직접적인 공격으로 인한 사상뿐만 아니라 오염된 식수와 비위생적인 보건 상황 등 전쟁에 따른 인도주의 피해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러시아의 공습으로 폐허로 변한 우크라이나 남동부의 마리우풀의 모습 (사진=BBC 유튜브 뉴스 캡처)

러시아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다수의 사상자와 난민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콜레라가 유행, 현지의 보건위생 상황이 극도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남동부 도시 ‘마리우폴(Mariupol)’에서 콜레라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패한 시신과 쓰레기 더미에 오염된 식수로 인해 현지 주민들은 콜레라를 비롯해 이질 등 감염병에 노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콜레라는 비브리오콜레라(Vibrio Cholerae)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이다. 오염된 식수와 음식물 등을 통해 전염되며,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행하는 풍토병이다. 평균 사망률은 약 50%로, 노인 및 소아 등 취약계층의 치명률은 이보다 더 높다.

관련해 국경없는의사회(MSF)는 주민들은 지하 방공호에 대피해 있고, 가게들은 문을 닫았고, 음식과 마실 물을 찾기 어려우며, 약국에는 약이 떨어졌다고 보고했다. MSF는 거리에는 수습되지 못한 시신이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병원에 대한 공습이 이어지자 MSF는 마리우폴 지역 병원 공격에 대한 성명문을 내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보건당국은 콜레라 창궐을 공식화하진 않았지만, 현지가 인도주의 위협 상황에 놓여 있음은 부정하지 않고 있다. 이호르 쿠진 보건부 차관은 “마리우폴의 상황이 특히 심각하다”고 밝혀 현지 보건위생이 극도로 취약함을 시사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우크라이나에 콜레라 백신을 운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쟁이 잦은 분쟁지역은 포탄에 의한 살상과 더불어 감염병 발생으로 인해 인도주의가 위협받는다. 식수의 오염과 함께 콜레라 등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가 제때 보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백신과 치료제가 보편화된 이른바 ‘구시대’의 감염병이 보건의료 시스템의 부재한 분쟁지역에서 치명적인 피해를 낳는다.

일례로 대량학살을 피해 미얀마에서 방글라데시로 피난을 온 로힝야들이 거주하는 난민캠프에서 2017년 디프테리아가 확산됐으며, 예멘에서도 이보다 앞선 2016년 콜레라가, 같은 해인 2017년에는 디프테리아가 발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