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도 실내 대기오염 물질 배출

UNIST 최성득 교수팀, PAHs 배출 확인...환기 중요

과학입력 :2022/06/13 12:00

가정이나 직장의 컴퓨터가 실내에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IST(총장 이용훈)는 도시환경공학과 최성득 교수 연구팀이 컴퓨터에서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나와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컴퓨터 부품에 불순물로 포함된 PAHs가 컴퓨터가 과열되면서 휘발돼 나온다는 분석이다. PAHs는 석유, 석탄, 나무 등을 태울 때 발생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유해 대기오염 물질이다. 

컴퓨터 서버실에서 PAHs 농도가 일반 실내보다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UNIST)

연구팀은 새집증후군을 연구하던 중 전산실의 PAHs 농도가 다른 실내 공간에 비해 2~4배 정도 높다는 사실을 발견, 연구에 착수했다. 

실내 공기와 컴퓨터 내부 공기를 채취하여 PAHs 농도를 분석한 결과, 실내 공간 크기가 작고 컴퓨터가 많을수록 PAHs 농도가 높았다. 사용 기간이 짧은 컴퓨터일수록 많은 양의 PAHs를 배출했다. 이는 입주 초기 실내에서 냄새가 많이 나는 새집증후군과 유사하다.  

또 컴퓨터 부품에서 PAHs를 직접 추출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컴퓨터 부품에서 PAHs가 검출됐다. 회로기판과 전선피복 등의 컴퓨터 부품을 밀폐용기에 담은 뒤 60℃로 가열한 실험에서도 가열 시간이 길수록 PAHs 농도가 높게 나왔다.

최성득 교수는 "컴퓨터 외에도 여러 전자제품에서 PAHs가 배출될 가능성이 크며 실제 레이저 프린터에서 PAHs가 배출된다는 해외 사례 보고도 있다"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PAHs를 비롯한 다양한 유해 대기오염 물질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환기를 자주하고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로 통념과 달리 실내에서도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의해 PAHs에 노출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다양한 실내공기 오염원을 찾고 그 위해성을 분석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PAHs 위해성 평가 결과가 통상적 위험 수준보다는 낮다"라면서 "이번엔 PAHs 중 대표적 물질만 분석했고, 실제로는 PAH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기오염 물질이 배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 위해성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컴퓨터 부품의 성분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해 정확한 오염원을 찾고, 중장기 건강 위해도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준비 중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건축물과 환경(Building and Environment)' 6월 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