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전환 기업들 성장률 높아…정책 패러다임 변경은 숙제"

디지털전환, 기업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경제 파급효과는 개선 필요

방송/통신입력 :2022/05/25 17:09    수정: 2022/05/25 22:05

"현재 신규기업들이 진입할 때 많은 디지털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기업 역동성 강화 측면에서도 디지털 기술은 중요하다."

이준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디지털경제연구실장은 25일 '디지털혁신 정책방향 토론회' 디지털경제사회 세션에서 디지털전환이 기업의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이준배 연구실장은 "디지털전환은 경제 전체의 생산성과 성장, 산업의 부가가치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IT 기술이 투입된 산업의 성장률이 높았다고 말했다.

이준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경제연구실장. (사진=강준혁기자)

현재 한국의 디지털전환은 OECD에서 10위권을 차지할 만큼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표를 보면 16위까지 하락하는 등 부족한 부분들이 있다.

이 연구실장 역시 이러한 부분을 지적하며 "한국의 디지털전환은 정량적으로는 실행여건이 양호하지만, 인재·교육·연구개발 부분은 종합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졌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전환의 파급효과를 늘리는 것도 숙제다. 디지털전환으로 한국의 유망산업들이 국제적인 역량을 따라잡았지만 경제적인 파급효과는 낮다.

이 연구실장은 "디지털전환의 성과가 경제 전체로 파급되기 위해서는 기업 육성뿐 아니라 서비스와 사회 안전망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전환 정책의 범위를 넓게 가져가면서 성과지표 등을 계속 추적하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실장은 "신사업은 통계적으로 파악이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금융업이나 보험업이 디지털전환을 한 이후 빠른 성장을 했지만 어떤 원인 때문에 성장했는지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 연구실장은 "우리 정부가 디지털경제나 디지털전환 관련 통계를 계속 수집하는 건 긍정적이지만 방법에 있어서는 조금 더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마지막으로 이 연구실장은 지원정책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정부가 소수의 유망산업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육성해 성공한 경험이 있어서 현재의 정책도 이를 벗어나지 못했다"며 "정책을 추진할 때 중장기적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