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 달 착륙 꿈 앞당긴다...차세대 발사체 사업 예타 진행 중

과기정통부, 재사용 기반 기술 적용한 발사체 기업과 함께 개발

과학입력 :2022/05/09 12:00    수정: 2022/05/10 10:53

누리호를 이을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9일 밝혔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후속 사업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1조 9천 330억원이 투입된다. 달 착륙선 발사나 대형 위성 자력 발사가 가능하도록 수송 능력을 높이고, 재사용발사체 전환과 성능 확장 등에 대비해 고체부스터 기술 개발 등을 병행한다. 

한국형 발사체와 차세대 발사체 비교 (자료=과기정통부)

차세대 발사체는 액체산소-케로신 기반 2단형 발사체로 개발된다. 1단 엔진은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5기가 클러스터링 되며, 재점화와 추력조절 등 재사용발사체 기반 기술이 적용된다. 2단 엔진은 1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2기로 구성되고 다회 점화와 추력 조절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차세대 발사체가 개발되면 우리나라는 지구궤도 위성뿐 아니라 달이나 화성 등에 대한 독자 우주탐사 능력도 확보하게 된다. 정부는 2030년 달 착륙 검증선을 발사해 성능을 확인한 후, 2031년 본격적인 첫 임무로서 달착륙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설계부터 최종 발사에 이르는 전 과정을 향후 선정될 체계종합기업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수행하고, 산업체를 중심으로 민간 주도 선행기술 연구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우주강국 진입에 기여할 우주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설계 단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발사체 개발 역량을 제고하는데 본 사업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