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에서도 ‘저상형 2층 광역 전기버스’ 달린다

9일부터 7780·7800번 광역버스 노선 7대 도입

카테크입력 :2022/05/08 13:27    수정: 2022/05/08 15:18

수원에서도 9일부터 저상형 2층 광역버스가 투입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저상형 2층 광역 전기버스’ 7대가 수원시 광역버스 노선에서 운행을 개시한다고 8일 밝혔다.

현대차 2층 전기버스 (사진=현대차)

권선구에서 팔달구·장안구를 거쳐 사당역으로 운행하는 7780번에 3대, 권선구에서 장안구를 거쳐 사당역으로 운행하는 7800번에 4대가 도입된다. 수원시에서는 처음으로 운행되는 ‘2층 광역 전기버스’다.

9일 운행하는 ‘2층 광역전기버스’는 좌석 공급량을 확대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2019년 국토부와 현대자동차가 공동개발한 첨단 국산 기술을 집약한 차세대 광역교통 수단이다.

좌석은 총 70석(1층 11석, 2층 59석)으로 기존 버스(44석) 보다 약 60% 증가했다,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휠체어(2대)가 탑승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형태로 제작됐다.

또 전기모터로 주행해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전방 충돌 방지(FCA)와 차선이탈 방지(LDW) 등 각종 운행 안전장치를 설치해 승객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산화탄소 등 유해물질과 탄소배출이 없어 도심 대기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당 수송량을 늘려 출퇴근 시간대 차내 혼잡과 도로정체 완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에 따르면 ‘2층 광역 전기버스’는 기존 버스보다 탄소배출이 연간 90톤 이상 줄이고 도입 노선의 하루 평균 승차인원은 1천250명에서 20% 많은 1천501명으로 늘었다. 평균 차내 혼잡도는 57%에서 44%로 13%포인트 낮아졌다.

수도권 저상형 2층 광역 전기버스 노선도

대광위는 출퇴근 시간 광역버스 노선의 극심한 혼잡을 완화하고자 2020년부터 ‘2층 광역 전기버스 보급사업’을 추진해왔다. 현재 10개 노선에 ’2층 광역 전기버스‘ 25대를 운행 중이다.

관련기사

또 지방 대도시권(대전권) 최초로 ‘2층 광역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등 올해 말까지 60대로 확대하고 ‘제2차 광역교통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300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윤준상 대광위 광역버스과장은 “2층 광역 전기버스는 광역버스 노선에서 운행 가능한 유일한 저상버스로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광역 이동권 보장에 기여를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광역버스 편의 향상, 대기환경 개선, 장애인 이동권 보장 등을 위하여 2층 광역 전기버스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