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비중이 낮아지고 수입비용 증가로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조상현)이 11일 발표한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신흥국 경제와 수입 수요를 둔화시켜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2013년 최대 48.1%였던 신흥국 수출비중은 2015년 미국 금리 인상 이후 2017년 44.5%까지 감소(3.6%포인트)했고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2월에도 지난해 12월 보다 1.5%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 자본유출과 경기 둔화로 이어지면서 신흥국의 수입 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본격적인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수출기업들의 유동성도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과거 미 금리 인상기(2016년 7월~2018년 10월)에 30개월 동안 0.5%포인트 인상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2021년 5월부터 올 2월까지 10개월 동안 0.8%포인트 상승했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달러 결제 수입 비용을 증가시켜 수출 채산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1천200원을 돌파하면서 원화 기준 원자재 수입 부담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수입에서 1차 산품과 중간재 수입 비중이 73%에 이르기 때문에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현상은 환율 상승과 함께 원자재 수입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 무협, 급등하는 국제 원자재 가격 하반기 안정화 전망2022.04.05
- 美 연준, 금리 0.25%p 인상…추가 인상 전망2022.03.17
- 코로나에도 한국 수출 1위 품목 77개…2020년 세계 10위2022.03.14
- 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 106…6분기 연속 ‘100’ 상회2021.09.30
한편, 보고서는 미국 금리 인상을 계기로 엔화 약세가 가시화하고 있지만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정부가 엔화 약세를 유도했던 기간(2012년~2016년) 중 일본 수출물량 증가율은 연간 1%포인트 미만에 불과했고, 최근 한·일 수출경합도도 하락(2019년 0.481→2020년 0.471)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올해 일본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엔화의 실질가치(실질실효환율)가 90년대 절반 미만 수준으로 하락해 안전자산으로서 엔화 위상이 크게 하락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이 엔저 지속가능성을 낙관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홍지상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수요 요인(demand-pull)보다 비용 요인(cost-push)에 의해 구조적으로 장기화하면서 5월 미국의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면서 “상반기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대출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해상운임 등 수출기업의 부대비용을 절감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