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은 '데이터 호수'

정부 내 데이터 '호수'에 모아 공공서비스 개발+정책결정 활용

방송/통신입력 :2022/04/07 20:34    수정: 2022/04/07 20:34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인공지능 플랫폼 기반에 데이터레이크(데이터호수)를 갖춘 클라우드 아키텍처로 구현될 전망이다.

오종훈 KAIST 교수는 7일 국민의힘 이영 의원이 주최한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전략 세미나에서 디지털플랫폼 정부는 데이터 기반의 정책결정이 가능한 클라우드 상의 디지털 트윈 정부라고 요약했다.

우선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를 클라우드에 똑같이 구현한다. 정부 부처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는 하나의 호수에 모아둔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이 결정되고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SaaS 형태의 서비스를 공공과 민간이 모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정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공에서는 새로운 대국민 서비스를 만들고, 민간에서도 정부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게 하는 것이다.

고진 인수위 디지털플랫폼정부TF 팀장. 사진=뉴스1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 공적마스크 유통 정보를 민간에 제공해 포털 등의 사업자들이 지도서비스를 구현한 것이 비슷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핵심은 단순 마스크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내에 있는 더 많은 각종 데이터를 정제한 뒤 제공해 수많은 혁신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점이다.

즉 데이터레이크를 바탕으로 각종 행정 서비스를 만들어내고, 정부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결정에 인공지능 분석을 활용하겠다는 설명이다. 전자정부 구축 선에서 진일보된 개념이다.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는 데이터 유통 구조 등을 표준화해 오픈API 형태로 만든다.

대한민국 디지털 정부의 오픈API가 마련되면 민간 플랫폼에 연동 수도 있고, 해외 수출이 가능한 솔루션 구조가 될 수도 잇다.

오종훈 교수는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인 정책결정이 가능해지고 시스템으로 효율화된 구조에서 행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디지털플랫폼 정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초안을 구성한 뒤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강력한 추진체계를 갖춰 발전시킬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고진 인수위 디지털플랫폼정부TF 팀장은 “TF에서는 강력한 추진체계를 갖추는 것까지 마무리짓고 구체적인 구현과 실행계획은 대통령직속 위원회를 만들어 전문가들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진 팀장은 또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은 국정전략이 됐고, 구정과제 중에 우선순위가 매우 높아졌다”면서 “당선인의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20년 동안 못했던 숙제를 이번 정부에서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