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정부 성공하려면 대통령 어젠다 돼야"

지디넷코리아, 25일 전문가 좌담회...강력한 상설 조직에 민간 전문가 적극 참여해야

방송/통신입력 :2022/03/25 22:54    수정: 2022/03/28 10:58

디지털 플랫폼 정부가 차기 정부의 새로운 국정 키워드로 떠올랐다. 산학관 전문가들은 새 정부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가 최고경영자(CEO)인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상설 형태의 강력한 실행 조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 데이터를 잘 아는 산학관 전문가들 실행 조직에 적극 참여하게 해야 하며 데이터 활용도 지금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디넷코리아는 25일 서울 중구 더존 을지로타워에서 산학관 전문가들을 초청해 새 정부 화두로 부상한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성공적 구축 방안을 모색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다.  

지디넷코리아가 디지털 플랫폼정부 성공적 구추 방안을 주제로 주관한 산학관 전문가 좌담회가 25일 서울 더존 을지로타운 에서 열렸다.

이날 좌담회에는 전자정부 산 증인이라 불리는 김숙희 솔리데오시스템즈 대표를 비롯해 송호철 더존 플랫폼사업 부문 대표, 장영환 티맥스티베로 부회장, 이영상 데이터스트림즈 대표, 엄석진 서울대 교수, 최백준 틸론 대표, 오강탁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정부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 "전문가들이 적극적 참여하고 의견 내야"

엄석진 서울대 교수는 데이터를 대하는 데 있어 집권화된 방식과 분권화된 방식이 균형을 이루며 함께 가야 한다고 밝혔다. 엄 교수는 "어떤 것을 집권화하고 어떤 것을 분권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며 "데이터 연계에 대한 전체적인 부분은 집권화가 필요하지만, 데이터 활용은 각 부처들이 조금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등 균형을 잘 맞추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엄 교수는 청와대나 총리실에 상설 형태의 데이터 관리 총괄조직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상 데이터스트림즈 대표는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정책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가 선행적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최고 수준의 전문가들이 모여 정책을 만들기 위해 논의해야 하고, 정확하게 정책의 방향을 정한 다음에 데이터 플랫폼 정부 구축이 시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백준 틸론 대표는 "전자정부를 디지털정부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첨단 기술을 접목해야 한다. 이를테면 클라우드 전면전환을 위해 민간 클라우드 활용 영역 전면 확대, 정부 행정문서의 블록체인 적용과 분산 신원확인(DID),  원사이트종합민원서비스를 위한 메타버스와 국민 집사를 위한 AI 등을 접목해야한다"면서 "전자정부 4.0보다 디지털정부 1.0 으로 새롭게 출발하고 이를 위해 국가 CPO(최고플랫폼총괄)를 두고 예산 편성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대표는 정부가 바뀌더라도 정책이 일관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면서 "

"지금 당장 성과를 내야 한다는 식의 접근보다 장기 관점에서 계획을 세우고, 현재의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하는 식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데이터 활용 힘들어…근본적인 통합 필요하다"

오강탁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정부본부장은 이번 기회에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 본부장은 "현재는 데이터 연계 시스템 구조가 느슨해 서로 다른 부처의 데이터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곧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이행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영환 티맥스티베로 부회장도 오 본부장 의견에 힘을 실었다. 장 부회장은 "현재 데이터는 물리적인 통합만 이뤄졌을 뿐 부처간 경계는 분명하다"며 "변화를 위해서는 근본적인 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숙희 솔리데오시스템즈 대표도 "현재 시스템은 데이터들이 모두 나뉘어 있어 활용하고 싶어도 못 하는 경우가 많다"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세스가 바뀔 필요가 있다"고 힘줘 말했다. 데이터를 받아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데이터를 가공하고, 재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김 대표는 "단순히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에 옮기는 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습관이 완전히 바뀔 수 있을 정도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내가 생각만 해도 국가가 동시에 해결해줄 수 있는 해결방안을 만들어주는, 원스톱으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게 아니라 아예 증명서를 발급받을 필요가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좌담회 자세한 내용은 29일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