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경험자 10명 중 7명 "스마트폰 사용시 증상 느껴”

스마트폰 관련 6대 질환 중 하나…눈 자주 깜빡이고 휴식 취해야

헬스케어입력 :2022/03/22 09:31

안구건조증 경험자 10명 가운데 7명은 스마트폰 사용 시 해당 증상을 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의 질환으로 불리는 안구건조증은 스마트폰과 PC 사용 증가로 인해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질환이지만, 눈물을 과도하게 분비시키거나 눈에 통증을 유발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력저하까지 초래하기도 한다. 디지털 기기 사용 시 눈을 자주 깜빡이고, 중간중간 눈의 휴식을 취해주는 등 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김안과병원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의 74.1%가 안구건조증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응답자의 69.4%(514명)가 스마트폰·태블릿·PC 등을 사용할 때 안구건조증을 느꼈다고 답했다. 이어 ▲냉·난방 기기 사용 시(43.3%) ▲바람이 불 때(38%) ▲독서 시(21.2%) ▲렌즈 착용 시(16.3%) 순이었다.

안구건조증이 심해지면 안과를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김안과병원)

실제로 안구건조증은 스마트폰과 관련된 6대 질환 가운데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스마트폰 관련 6대 질환의 진료비가 지난 2016년 3천870억 원에서 2020년도 5천871억 원으로 51.7% 증가했다. 이중에 가장 많은 질환은 안구건조증(1천282만 명)이었다.

스마트폰과 PC를 오래,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이유는 화면에 집중하는 동안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눈을 깜빡이면 위와 아래의 눈꺼풀이 만나게 되면서 눈물을 안구 전체에 도포하고 안구 표면을 닦아주는 동시에 항균 작용을 한다. 깜빡임이 줄어들면 눈물막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이 쉽게 증발한다. 우리 눈은 보통 1분에 15~20회 정도 깜빡이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 이 횟수는 3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

안구건조증을 예방 및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려면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는 주기적으로 눈을 깜빡이고 화면에서 눈을 돌려 먼 곳을 바라보는 등 의도적으로 눈에 휴식을 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50분에 한 번씩 알람을 설정하거나 쉬는 시간을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스마트폰을 보는 것은 이미 밤 사이 자는 동안 건조해진 눈을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대신 일어난 직후 물 한 잔을 섭취해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함께 온찜질과 눈꺼풀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면 눈꺼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지방층을 회복시켜 안구건조증을 완화할 수 있다. 눈 위에 따뜻한 물수건을 10분가량 올려 눈꺼풀의 기름진 분비물을 녹여준 후, 전용 청결제를 면봉에 묻혀 속눈썹 주위를 닦아내면 된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일상생활 속 노력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안과를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결막염·당뇨망막병증·갑상선안병증 등 다른 안질환이 있다면 안구건조증 방치했을 때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고경민 김안과병원 각막센터장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외부활동 대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디지털 기기 사용도 급증해 안구건조증으로 안과를 찾는 환자의 비율이 늘었다”며 “스마트폰 사용 습관부터 교정하는 것이 안구건조증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