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산업 표준・시험・인증 지원강화에 기업 및 인증‧지원기관 협력

백신 개발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 용이…중소・중견 수출 기업 비용 부담도 경감 기대

헬스케어입력 :2022/03/16 16:11

백신 산업 관련 기술과 제품 표준화 및 시험・인증 지원 강화를 위해 기업, 인증‧지원기관이 협력에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백신 대기업, 한국표준협회, 시험검사기관, 대구‧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수출지원기관은 백신 산업 관련 기술과 제품 표준화 및 시험・인증 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협약(MOU)을 16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백신 원료 및 원부자재, 완제품, 관련 장비 등 백신 산업 전후방 기업들에 대한 표준・시험・인증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협약 체결 기관・기업 등은 국내 백신 산업을 탄탄하게 받치는 디딤돌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 국내 대표 백신 대기업은 대・중소 상생 협력 차원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시험・검사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시험・검사・실험실 관련 컨설팅 및 자문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백신 개발과 생산, 수출, 유통 등을 위한 국내 및 해외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이 용이해지고, 백신 관련 중소・중견 수출 기업의 비용 부담도 경감돼 해외 시장 다변화 및 수출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산업 표준·시험·인증 지원강화 협의체

12개 참여기관은 ‘백신산업 표준·시험·인증 지원강화 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해 백신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제품의 표준화 및 시험·인증 서비스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향후 분기별로 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필요시 국가기술표준원장과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은 협의체 회의를 공동 주재해 운영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정부는 협의체 참여 기관을 점차 확대해 백신 기업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기술・제품 표준화 및 고품질의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이날 ‘제2차 10대 유관기관장 협의체 협력회의’ 및 ‘백신・치료제 위탁 생산 기업 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위탁 생산 기업들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간담회 직후에는 백신 원부자재 전문 기업인 아미코젠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아미코젠 박찬주 부사장은 지방소재 중소기업이 겪는 인력확보,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매칭 지원 등을 건의했고, 양 장관은 연구개발 인력을 확보하고, 지방 소재 중소기업이 국가연구개발(R&D) 참여시 가산점을 부여하며, 대·중소 상생 협력 지원강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답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그동안 정부가 보건의료 차원의 코로나19 방역 관리에 많은 역량을 집중했다면 이제부터는 백신・치료제 산업 지원과 육성에도 더 많은 관심을 두려고 한다”며 “이제는 우리가 하나씩 이루어낸 백신산업의 성과를 바이오헬스산업 전반으로 확산해 나갈 시점으로 정부와 유관기관, 기업인 모두가 하나가 되어 바이오헬스산업의 대도약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월 23일에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세계보건기구로부터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받은 것과 관련해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서 참석한 관계 부처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다.

문승욱 장관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우리 백신기업들이 국제 경쟁력을 증명해 보였다”고 평가하고, “백신 산업이 바이오헬스 분야 성장을 견인하고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기업인들도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보다 좋은 백신과 치료제를 적기에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각 유관기관은 백신・원부자재・장비 기업을 대상으로 긴급 온라인 설명회도 개최했다.

설명회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대(對) 러시아 금융・수출 제재 관련 세밀한 정보를 공유하고, 향후 피해 발생 시 각 유관기관별로 제공 가능한 지원방안을 설명했다.

정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백신 수출 기업에게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가 긴밀히 공조해 적기 대응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