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번주 중 美 당국과 對러시아 제재안 본격 협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미 정부 고위층과 직접 연쇄 접촉할 것"

디지털경제입력 :2022/02/28 14:10    수정: 2022/02/28 14:23

지난주 미국이 대러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우리 정부도 이번 주 중으로 미국 정부 측과 수출 통제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8일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열린 '전문무역상사 긴급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여 본부장은 간담회에서 "지난주 발표된 미국 대러 수출통제와 관련해 이번주 중 미국과 협의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미 정부 고위층을 직접 연쇄 접촉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산업부는 이번주 중으로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과 국장급 협의를 실시한다.

이날 간담회는 전문무역상사, 수입협회 등과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에 따른 수출입 현황을 긴급 점검하기 위해 열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물류, 원자재, 대금결제 등 수출입 현황 및 대응방안,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조치에 따른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 두 번째)은 28일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러-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긴급 수출입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수출입, 물류, 원자재 수급 관련 영향 및 대응현황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무역상사는 현재 원자재 대체지역 비중 확대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사태 악화시 원자재 수급 불안, 물류운송 차질, 대금결제 애로 등을 우려했다.

또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발표한 전략물자 등에 대한 대러 수출통제 조치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기하며 업계에 대한 신속한 정보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산업부는 전략물자관리원 내 '러시아 데스크'를 24일부터 본격 가동 중이다. 이후 이틀간 미 측 제재에 따른 산업별‧품목별 대러 수출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해 총 60여건의 문의를 접수해 관련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 중이다.

관련기사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KOTRA·무역협회 등에 최근 개설된 기업애로 접수‧해소지원 전담창구를 통해 정보 공유, 물류‧거래 차질 해소, 유동성 공급, 법률 컨설팅 등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여 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전황이 예측불가능하므로 긴장감을 늦추지 말고 비상대응체제를 유지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급변하는 현지 동향 실시간 공유, 수출입 물류‧대금결제·계약차질 등 한 치의 애로도 놓치지 않도록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