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원전 주력 기저원전으로 활용해야"

文, 에너지 공급망 회의 주재…"지속 운영되는 향후 60년 동안은 원전 충분히 활용해야"

디지털경제입력 :2022/02/25 19:28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원전(원자력발전소)을 주력 기저원전으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현안점검 회의'에서 "원전이 지속 운영되는 향후 60여 년 동안은 원전을 주력 기저전원으로서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면서 "적절한 가동률을 유지하면서 원전의 안전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날 회의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전력공급 기반 확충 논의를 위해 개최됐다. 실제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할 경우 원전과 석탄 등 대체 연료를 투입하는 '전력 믹스'를 대안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 (사진=청와대 유튜브 캡쳐)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수명이 다한 노후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등을 2084년까지 장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에너지원으로서 원전이 지닌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밀집도가 세계 최고인데다 특정 지역에 밀집돼 있어 사고가 나면 그 피해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믹스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 금지 등을 2084년까지 장기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6호기를)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에 단계적으로 정상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해당 원전들은) 포항과 경주의 지진, 공극 발생, 국내자립기술 적용 등에 따라 건설이 지연됐다"며 "그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준 강화와 선제적 투자가 충분하게 이루어진 만큼, 가능하면 빠른 시간 내에 단계적 정상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