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화재 등 재난현장서 사람 신속히 찾는 기술 개발

임펄스 무선 초광대역(IR-UWB) 등 두 레이더 센서 기술 활용

과학입력 :2022/02/03 08:53    수정: 2022/02/03 08:5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은 화재·폭발·붕괴 등 실내 재난현장에서 소방관을 도와 효과적으로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신속하고 안전한 인명구조를 지원한다.

ETRI는 레이더 센서 기반의 인명탐지 시스템을 개발, 현장 적응을 위한 시제품 제작과 리빙랩 실증 테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화재 등 재난현장은 어둠과 연기·분진 등 소방대원의 시야를 제한하는 요소가 많다. 이에 화재현장의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없어 피해자의 효율적인 인명구조가 어려운 실정이다.

ETRI 연구진은 센서 반도체 기술을 활용해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의 헬멧이나 휴대기기 형태로 만들어 시야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자 호흡과 심장박동 등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전파가 가지는 투과성능을 이용해 재난현장 장애물 뒤의 상황과 피해자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신속하고 정확한 인명구조와 소방대원의 안전 보장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ETRI 연구진이 레이더 센서를 이용해 사람의 생체신호 탐지를 시연하고 있다

특히 연구진은 인명탐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의 레이더 센서 반도체를 개발했다. 먼저 임펄스 무선 초광대역(IR-UWB) 레이더 센서다. 이는 반사된 전자파를 이용해 센티미터(cm)급 움직임도 알아낼 수 있다.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피해자의 움직임과 호흡, 심장박동 등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고정밀 주파수변조연속파(FMCW) 레이더 센서 기술이다. 벽 뒤에 쓰러져 있거나 붕괴잔해물에 묻혀 움직임 없이 호흡만 하는 사람도 탐지할 수 있다. 인명탐지 정확성을 더욱 높였다. 현재 시스템의 크기는 대략 15cm x 20cm로 향후 소방관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소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ETRI는 향후 소방 관계 기관과 협업을 통해 모의 실증을 추진하는 등 재난현장에 센서 반도체 기반의 인명구조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사업 책임자인 ETRI 구본태 책임연구원은 "재난환경에서 골든타임 내 인명구조와 소방대원의 안전한 구조 활동이 목표"라며 "재난현장에 빠른 적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 지원을 받아 이뤄진 '경량 RISC-V 기반 초저전력 인텔리전트 엣지 지능형반도체 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올해 말까지 수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