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e-Fuel 보급활성화 촉진…R&D·워킹그룹 운영

CCU 통합공정 기술개발에 256억 투입…민군협력기술개발 병행

디지털경제입력 :2022/01/12 16:28

정부가 재생합성연료(e-Fuel) 보급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R&D), 워킹그룹 등을 운영한다. 또 민·군 협력 e-Fuel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군용 차량·함정 등에서도 이를 활용 가능하도록 시범 적용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재생합성연료(e-Fuel) 6차 연구회’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연구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우리나라는 수소·CO2 생산 및 합성 공정 등 제조공정 원천기술은 다수 확보하고 있지만 상용화를 위한 실증 연구가 필요한 단계”라면서 “수소·CO2 가격을 낮추기 위한 CO2 흡착제 효율 향상, 합성 촉매 개발 등이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참석자들은 전기·수소차 가격이나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을 고려하면 e-Fuel도 전기·수소차 수준의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부는 e-Fuel 보급을 위해 R&D, 워킹그룹 운영 등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수송부문 탄소중립연료 워킹그룹’을 구성해 ▲단계별 연료·대상차종 선정 ▲혼합비율 및 배출가스 측면의 엔진 적용성 검증 ▲연료 성능 표준 수립 등 e-Fuel 기술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CCU 실증 R&D를 통해 정유공정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집·활용하고 항공유 등 석유제품을 개발·생산하는 등 품질기준 개발 상용화 전략을 수립한다. 2025년까지 탄소순환형 정유제품 생산을 위한 CCU 통합공정 기술개발에 265억원을 투입한다.

관련기사

민·군 협력 e-Fuel 실증사업을 추진해 급격한 전동화가 어려운 군용 차량·함정 등에서도 e-Fuel 활용이 가능하도록 품질 수준을 향상·검증하고, 군 협의를 거쳐 시범 적용도 추진한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정부도 e-Fuel 등 탄소중립연료 보급 활성화를 위해 세부 이행 계획을 마련하고 기술개발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동 연구회 논의 결과 등 업계와 전문가분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