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위성으로 찍은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 시대 활짝

27일부터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국토위성 위성정사영상 공개

디지털경제입력 :2021/12/27 11:07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 1호)이 촬영한 영상을 정밀 보정한 위성정사영상 183장을 27일부터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공개한다고 밝혔다.

위성정사영상은 위성영상에 나타나는 높이차나 기울어짐 등 지형기복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모든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의 모습으로 변환한 영상이다.

국토위성은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추진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이 본체와 탑재체를 개발한 정밀 지구관측용 광학위성이다. 주관부처인 과기정통부가 1천128억원, 주활용부처인 국토부가 451억2천만원을 예산으로 투입했다.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 1호) 탑재체 형상

국토위성에서 촬영한 위성영상은 정밀 보정해 위성정사영상(컬러해상도: 2m→0.5m, 위치정확도: 40m→1~2m)으로 가공하고, 국토이용·모니터링, 자원 관리, 각종 재난 대응 및 국가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동안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보안 규정 등에 따라 온라인 공개·배포 등이 어려워 활용이 제한됐으나 국토정보플랫폼에 국토위성 전용 배포 시스템을 구축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배포할 수 있게 됐다.

온라인으로 좌표정보가 제거된 위성정사영상을 제공하고 대용량 자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 유형만 선택해 내려받을 수 있다. 1개 단위의 위성정사영상의 크기는 약 10Gb로 내려받을 때 약 30분이 소요된다.

오프라인에서는 좌표정보가 포함된 위성정사영상과 대용량 자료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포 정책을 수립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국토위성정보 서비스 개요

국토위성 정사영상은 기존 항공정사영상과 달리 한반도 전역을 접근 제약 없이 넓은 영역(통과 시 약 6천900㎢/일)으로 주기적 관측이 가능하며, 단위 영상(12㎞×12㎞)과 영상지도로 서비스한다.

위성정사영상은 촬영현황 등 부가 정보와 함께 제공되며 앞으로 촬영되는 영상은 배포 가능한 형태로 가공한 후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지속해서 공개된다.

관련기사

국토지리정보원은 고품질 위성정사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지속적인 사용자 다운로드 환경과 영상 품질 개선 등을 추진 할 예정이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토위성은 우리나라 위성 활용 중심의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며, 국가 공간정보 산업․서비스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적극 공개·개방할 것”이라며 “비전문가도 국토위성을 손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형 영상 서비스를 위한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국토 위성 기반의 국토현황 주제도 제작, 재난 대응 맞춤형 서비스 등 공공분야 업무 지원을 위한 활용모델 개발에도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