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는 정밀지상관측용 제궤도 실용위성(국토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1호’를 3월 20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한다고 22일 밝혔다.
차세대 중형위성 1호는 22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출발해 24일(현지시간) 발사장인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 도착할 예정이다.
차세대 중형위성 1호는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러시아 JSC 글라브코스모스의 소유즈 2.1a 발사체에 실려 발사한다.
발사 후 고도 497.8km 궤도에서 약 2개월의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6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정밀지상관측 영상을 제공한다.
차세대 중형위성 1호는 중형급 위성 표준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탑재체 개발과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분야의 관측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위성개발 기술 산업화를 위해 주관부처인 과기정통부와 주활용 부처인 국토부 지원을 받아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이다.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는 500kg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 확보와 정밀지상관측용(흑백 0.5m급, 컬러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한다. 2단계는 1단계 사업에서 확보한 500kg급 표준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중형위성 3기(3호 우주과학·기술검증,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 관측)를 국산화하는 사업이다. 차세대 중형위성 2호는 2022년 발사할 예정이다.
주관기관인 항우연은 차세대 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을 통해 중형위성급 시스템 및 표준 본체(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체에 성공적으로 이전해 해외 기술에 의존해온 정밀 광학 탑재체를 국내 독자 모델로 국산화했다.
국산화한 정밀지상용 광학 탑재체는 국내 독자 모델로 다목적실용위성 3A호와 같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100kg 이상 가볍게 했다. 또 플래시 메모리 방식 영상자료 처리장치를 채택해 전력사용량과 무게는 3분의 1로 줄이고 저장용량은 6배 늘렸다.
관련기사
- 천리안위성 2B호가 보낸 대기질 영상 보니2020.11.18
- 환경·기상·해양 위성센터, ‘천리안위성 2호’ 융복합 활용 손잡아2020.11.18
- 환경부, 천리안위성 2B호 해양위성영상 5일부터 제공2020.10.04
- 월드 랠리서 만난 현대차 vs 토요타…"여기선 빠른 제조사가 1위"2024.11.22
또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와 연구기관을 통해 개발, 국산화율을 높였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항우연에서 정밀지상관측 영상을 받으면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설치된 국토위성센터에서 위치정확도 1~2m급 고품질로 가공·처리한 정밀정사 영상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차세대 중형위성 1호가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공공·민간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