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클로바, 올해 글로벌 학회서 AI 정규 논문 66건 발표

네이버·네이버랩스·라인 모두 포함 시 112건 논문 발표

인터넷입력 :2021/12/27 09:28    수정: 2021/12/27 09:30

네이버 클로바가 올해 글로벌 최상위 인공지능(AI) 학회에서 66건의 정규 논문을 발표하며, AI 연구 역량을 입증하고, 글로벌 수준의 AI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서치CIC, 파파고, 네이버랩스유럽, 라인에서 발표한 논문까지 합치면 올해 네이버 및 관계사가 글로벌 학회에 발표한 논문은 112건에 달한다. 특히 ICASSP, Interspeech, ICCV, EMNLP 등 글로벌 AI 학회들에서 두 자리 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규 논문 발표 외에 학술지, 워크샵, 챌린지까지 포함하면 한해 동안 네이버·NLE·라인에서는 무려 185건의 AI 논문을 등재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네이버는 국내 '초대규모 AI' 분야의 선도자로서 글로벌 학계에서 한국어 AI에 대한 논의를 주도했다. 지난 11월 네이버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에 대한 논문을 'EMNLP 2021'에서 발표하며 한국어 AI를 글로벌 자연어처리 학계에 소개했다. 이어 최근 진행된 'NeurIPS 2021'에서는 네이버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KLUE(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evaluation)'를 발표하며, 한국어 AI 연구의 저변 확장에 기여했다. KLUE는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 20여 곳이 참여한 한국어 자연어이해(NLU) 벤치마크 데이터셋이다. 언어 모델의 정확한 성능 평가와 효과적인 AI 학습을 위해 필수적이다.

네이버 하정우 AI LAB 소장

특히 이번 'NeurIPS 2021' 학회에서는 네이버가 개최한 워크샵이 전세계 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성료되며 네이버 AI 연구 그룹의 글로벌 위상과 인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네이버 클로바 및 네이버랩스유럽의 연구원들이 구글 브레인, 튀빙겐 대학과 공동 개최한 '이미지넷: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워크샵에서 '이미지넷' 데이터셋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올가 루가코프스키 교수를 비롯해 해당 분야의 권위자 13명이 강연했다. 온라인으로는 40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참석해 활발한 토론을 진행했다.

네이버 측은 "올해 발표 논문 중 약 40%는 산학협력 인턴십을 통한 성과며, 약 25%는 해외 연구 그룹과의 협업을 통한 성과"라고 밝혔다.

올해 네이버는 서울대, 카이스트와 각각 초대규모 AI, 초창의적 AI를 주제로 공동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수백억원 규모의 투자와 강결합된 산학협력 방식을 통해 글로벌 AI 기술력을 확보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각 연구센터에서는 네이버 및 각 학교의 연구원들이 긴밀히 협업하며 연구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으며,  네이버의 연구원들을 각 학교의 겸직 교수로 채용하고 정식 수업을 개설하며 인재 양성에도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두 학교 외에도 고려대, 연세대, GIST, UNIST, 서강대 등 다양한 국내 대학과 활발한 연구 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관련기사

네이버 AI 학회 논문 발표 리스트

AI R&D 생태계를 글로벌로 확장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과학기술대학 및 우정통신기술대학과 올해 초 공동 AI 센터를 설립하고 총 10개의 과제를 진행했다. 올해 북미 지역으로도 AI R&D 조직을 확대해 글로벌 인재를 영입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검색 분야 선행기술 연구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경현 교수(NYU), 앤드류 지서만 교수(University of Oxford) 등 연구 그룹과의 개별적인 산학 협력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 하정우 AI LAB 소장은 "네이버가 연구개발한 AI 기술이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라면서 "연구 성과의 40%는 실제 AI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글로벌 AI 리더십을 위한 중장기적인 선행연구와 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를 계속해서 병행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