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소비 낙지 84%가 수입산...정부, AI·IoT로 낙지 갯벌 관리

신안군 대상 스마트빌리지 사업 추진...생산량 확인, 불법조업 근절 시스템 설치

컴퓨팅입력 :2021/12/13 13:30

과기정통부가 인구감소, 고령화, 해양 오염 및 남획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남 신안군의 낙지 어민들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같은 정보통신(ICT) 기술을 활용, 낙지 생산량을 확인하고 불법조업을 근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지역주민의 호응을 받았다. 국내산 낙지가 계속 줄고 있는데 지난해 기준 낙지 국내 소비량 3만6899톤 중 84%(3만1000톤)가 중국 등지에서 수입됐다.

과기정통부와 전라남도 신안군(군수 박우량),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 문용식)DMS 은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으로 추진GKS 신안군(도초면) ‘갯벌어장 스마트 낙지 조업지원 및 자원관리 서비스’ 성과 보고회를 13일 개최하고 현장 시연 등 구축 내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2019년부터 지능정보기술(ICT)기술을 활용해 농‧어촌 생산성 향상, 안전강화 및 생활편의 서비스 발굴을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신안군을 포함해 5개 지역의 스마트빌리지 과제를 선정, 추진했다. 5개 과제는 신안 스마트낙지(전남 신안)를 비롯해 경남 창원(스마트모빌리티), 전남 장성(AI기반소득형빌리지), 경남 거제(스마트주차·건강관리), 충북 청주(자율작업트랙터) 등이다.

신안군의 경우 낙지가 어민들 주 수입원이지만 최근 인구감소, 고령화, 해양 오염 및 남획 등으로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낙지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와 신안군은 이러한 어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낙지자원량의 효율적 산정 및 모니터링을 위해 무인 드론영상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드론 기반의 갯벌어장 낙지 자원량 산정' 서비스 개발을 추진했다.

구체적으로, 무인 드론을 이용해 갯벌어장을 촬영한 후 낙지분포에 대한 정밀지형도를 제작하고 약 6만여건의 낙지부럿(갯벌 위 낙지의 숨구멍으로 조개, 갯지렁이 등 다른 바다동물 서식구와 구별됨)에 대한 AI학습테이터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를 활용해 어민들은 누구나 웹과 스마트폰 앱(스마트 신안)으로 간편하게 갯벌환경을 관측하고 낙지 분포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IoT 기반의 불법 낙지조업 감시‧알람체계 구축’ 서비스도 개발, 스마트 CCTV를 통해 외부 불법조업 선박활동을 감시하는 알람체계를 구축했다. 도초면 어촌계 소속 50여척의 어선에 IoT+GPS센서를 부착해 미등록 선박과의 식별 및 비정상 조업 인식 시 경고 알람을 보내고 '스마트신안'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과기정통부와 신안군은 스마트빌리지 사업을 통해 발굴·실증된 이번 ‘스마트 낙지 서비스’를 해수부의 ‘갯벌형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 등과 연계해 신안군 전역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신안을 비롯해 보성 및 순천, 고창, 서천 등 국내 4대 갯벌은 올 7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바 있다.

관련기사

도초면 낙지맨손어업인 김행규 씨는 “현재 어민들이 고령화되어 낙지조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고, 지역 외 어업인들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주민들과 마찰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이번 정부지원 사업을 통해 손쉽게 낙지 생산량을 확인하고 불법조업도 근절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밝혔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스마트 낙지 서비스는 지역 디지털 뉴딜의 대표적 성과사례로 갯벌 어장 전반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타지역으로 확산되도록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 및 지자체 등과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라면서 "향후에도 디지털전환에서 소외된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정주여건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과제를 지역주민 수요에 기반해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