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수입식품법 중대 위반행위도 신고 포상금 지급키로

식약처,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헬스케어입력 :2021/11/26 15:26

내년 2월부터 무등록 수입식품 영업 등 주요 위반행위를 신고한 경우 포상금을 지급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11월 26일 입법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은 ▲신고포상금 제도 도입 ▲검사명령 미이행 영업자에 과태료 부과근거 신설 ▲위해우려 있는 직접구매 해외식품 정보게시 근거 마련 등이 담긴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이 개정․공포(’21.8.17 개정, ’22.2.18 시행)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시행령에서 ▲수입식품 신고포상금 지급기준과 신고자 비밀보장 근거 규정 ▲검사명령 미이행에 따른 과태료 부과 기준을 마련하고, 시행규칙에서는 ▲위해우려가 있는 직접구매 해외식품의 정보게시 대상․방법 등을 마련했다.

포상금 지급기준을 보면 무등록 영업, 영업정지 명령위반 등 중대한 법 위반행위를 신고한 경우 포상금 지급 기준(무등록영업 30만원,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20만원, 영업정지 명령을 위반해 영업을 계속한 경우 50만원 등)을 정하고 신고자의 비밀을 보장토록 해 소비자가 불법행위에 대해 적극 신고하도록 유도하고 영업자의 준법의식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관련해 식약처는 식품위생법,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의 식품‧축산물 분야에서 이미 신고 포상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에 수입식품 분야까지 신고 포상금 제도를 확대‧운영하게 됐다.

검사명령 미이행 과태료 부과기준도 마련된다. 영업자가 위해우려가 있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신속하게 입증하도록 검사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수입식품 영업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을 국내식품 영업자와 동등한 수준(1차 위반 300만원, 2차 위반 400만원, 3차 위반 500만원)으로 마련해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 식약처장이 정한 위해 우려가 있는 직접구매 해외식품 등에 관한 정보를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등에 게시할 때 정보게시의 대상과 방법에 관한 세부 절차를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건강에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원료‧성분이 포함된 직접구매 해외식품 에 대해 정보를 게시토록 하고, 식약처가 제품을 직접 구매해 검사한 결과와 국내‧외 수집 안전정보 등을 토대로 해당 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게시 정보는 대상 식품의 제품명․제조사・사진, 원료 또는 성분 정보를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등에 게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