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도 색소침착 발생 가능…미리 관리해야

눈에 비쳐 자외선 80% 반사…흰 마스크도 기미·잡티 발생 높여

헬스케어입력 :2021/11/24 14:31

봄·여름뿐 아니라 겨울철에서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치료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겨울에는 자외선 차단을 소홀히 하는 이들이 많다. 여름 등 여타 계절보다 겨울은 상대적으로 자외선 강도가 약하다고 여기는 탓이다.

봄·여름뿐만 아니라 겨울철에서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치료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픽셀)

물론 겨울철 자외선 지수는 봄과 여름보다 낮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10% 가량의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지면과 달리 겨울에 내리는 눈은 80%의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때문이다. 겨울에 눈이 내려 지상에 쌓이면, 반사되는 자외선 강도가 높아져 기미와 잡티 등이 발생해 색소침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마스크 사용도 색소침착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흰색 마스크를 쓰면 마스크가 자외선을 반사해 눈가나 콧등이 그을릴 수 있다. 이것은 눈에서 자외선이 반사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때문에 최근 들어 색소침착 치료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색소침착은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면, 범위가 확장되고 색이 짙어지는 등 악화될 수 있다.

색소침착을 방지하려면 관련 의약품을 사용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사진=동아제약)

색소침착을 방지하려면 관련 의약품을 사용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동아제약은 자사의 멜라토닝 크림이 과도한 색소침착 피부의 점차적인 표백과 멜라닌 색소 생성의 방지에도 효과적인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색소침착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사용하기에 적절하다는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출시한 멜라토닝 크림은 튜브 타입(30g)으로 제작돼, 하루 1회~2회 색소 침착 부위에 소량만 발라주면 된다”며 “크림에 함유된 히드로퀴논 성분은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색소 침착이 가속시킬 수 있어 야외 활동 시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하거나 저녁에 발라주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