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반대 부모 둔 아동·청소년 접종 구제 요원

백신 신뢰 전해 부모 맘 바꾼다지만…해외선 소송전도

헬스케어입력 :2021/10/27 14:13    수정: 2021/10/27 14:14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반대하는 부모를 둔 아동·청소년들의 접종 구제가 요원한 실정이다.

우리 방역당국은 12세~17세의 아동·청소년의 경우, 자율접종을 기본 방향으로 하되 반드시 부모의 예방접종 동의가 있어야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즉, 부모가 접종을 반대하면, 접종받을 길이 없다는 이야기다.

예방접종을 반대하는 이유는 종교적 신념이나 백신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는 등 다양하다. 특히 일명 ‘안티 백서’로 불리는 백신 회의론자들은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예방접종에 불신을 갖고 있다.

(사진=BBC 뉴스 유튜브 캡처)

이들은 백신 부작용을 과장하거나 효능을 부정, 접종 후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또 코로나19가 독감과 유사하게 위험도가 낮아 자연치유가 가능하다고 여기거나 백신이 제약사의 돈벌이 수단에 불과하다고 간주하기도 한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앞둔 정부는 이들에 대한 접종 유도 방안을 고심 중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우리나라의 경우는 외국처럼 접종에 대한 강력한 거부가 많지는 않다”면서도 “일부에서는 예방접종 자체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한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코로나19 백신에 취약한 계층은 성인보다 접종이 늦은 아동·청소년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5세~11세 아동의 190만여 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어린이들은 8천300명 이상이며, 사망자 수도 100명가량인 것으로 확인됐다. 

아동·청소년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감염 후 완치 판정을 받아도 ‘장기후유증(long COVID)’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기구인 백신 등 생물학적제제 전문가 자문위원회(BRBPAC)는 아동에 대한 예방접종을 권고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은 27일 이 문제에 대해 “어렵고 미묘한 문제”라며 “부모의 의사를 무시하고 청소년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안들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백신접종의 효과성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해 부모가 접종에 동의하는 쪽으로 전환되도록 한다는 방침이지만, 다소 모호한 측면이 없지 않다.

해외도 우리와 상황이 다르지 않다. 때문에 소송이 벌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 9월 캐나다에서는 예방접종을 반대하는 부모 사이에 법정 다툼이 벌어졌다. 결국 재판부는 접종을 찬성하는 모친의 손을 들어주며, 자녀에 대한 백신 접종을 허용했다.